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45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귀엽게 보이려고 일부러 지어 보이는 교태를 일러 "아양"이라 한다. 작위적인 행위여서 "아양을 떤다, 아양을 부린다, 아양을 피운다"라고 표현된다. 아양을 떤다는 말은 여자가 남자를 유혹하기 위해 "꼬리를 친다"는 말과 동의어로 쓸 수 있다. 때로 남자에게도 이 말이 쓰이지만 본래 여성의 의상에서 나온 말이기에 여성세계에서 쓰여야 자연스럽다. 아양은 "아얌"에서 나온 말이다. 아얌은 옛날 여인들의 겨울철 나들이에서 추위를 막기 위해 머리에 쓰던, 일종의 모자였다. 남성용 모자와 차이가 있다면 위가 트였고 좌우에 있는 포근한 털끝에 아얌드림이라 하여 비단으로 만든 댕기를 길게 늘였다는 점이다. 옛 여인들의 의상에서 일종의 호사라고 할까. 현란한 무늬의 아얌드림은 걸을 때마다 흔들리기 때문에 주위의 시선을 끌기에 충분했다. 멋을 부리고 싶은 여성, 특히 바람기 있는 여성이라면 이를 더 심하게 출렁거리며 거리를  활보했으리라. 동물 세계에서도 암컷은  수컷을 호리기 위해 꼬리를 친다고 하지 않는가. 아얌은 고유어처럼 보이지만 액엄이라는 한자말에서 유래하였다. 액엄이란 이마를 가린다는 뜻인데, 남녀가 유별하던 그 시절 여인들이 얼굴을 가리기 위한 일종의 장신구였다. 액엄과 비슷한 장신구로 이엄이란 것도 있었다. 이마가 아니라 귀를 가리는 장신구로서 이는 남성들의 관복에서 사모 밑에 받쳐 쓰는, 모피로 만든 일종의 방한구였다. 옛 여인들은 머리 위에서 발끝까지 신체 전부를 감추는 것을 미덕으로 알았다. 화류계 여성일지라도 발을 내보이는 것을 수치로  알았기에 한여름에도 버선을 벗지  않았다. 그러나 얼음장 밑에서도 물은 흐르는 법, 이런 엄한 분위기 속에서도 자신을 내보이거나 혹은 은밀한 애정표현이 없을 수는 없었다. 요즘 사람들에게는 얼굴을 가린 채 아양을 떨었다는 사실이 잘 이해되지 않겠지만, 어떻든 옛 여인의 교태는 이처럼 은밀하고 품위가 있었다고나 할까.
 



[아얌]
 


  지금은 한복을 입는 경우에도 버선은 신지 않고 대게 서양  버선, 곧 양말을 신게 마련이다. 베로 만든 우리 고유의 신발(고어로 "보션")인 버선은 이제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을까. 님이 오실 때 버선발로 달려나가던 모습도,  버선코의 그 날렵한 선도, 버선볼을 좁게  만든 "외씨버선"의 그 멋도 이젠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특히 "효도버선"의 아름다운 풍습이 사라진 게 못내 아쉽다. 시집 간 딸이 처음으로 친정 나들이 갈 때 문중 어른들에게 바치던 예물을 효도버선이라 한다. 친정 부모들은 그 효도버선을 신을 때마다 출가한 딸의 애틋한 심정을 되새겼으리라. 효도버선은 여느 버선과는 모양부터가 다르다. 짝이 서로 섞이지 않게 켤레마다 가운데 실을 떠서 묶는데, 거기에는 오래 사시라는 뜻에서 붉은 실로 80이란 숫자를 새겼다. 시댁으로 올 때도 똑같은 선물을 드리는데, 이 때 웃어른들이 "효도 봤다"는 인사말로  치하한 데서 효도버선이라는 말이 생겼다고 한다. 중동의 회교권 여성들은 "차도르"라는 수건으로 얼굴을 가린다는데, 신체를 가린다는 점에서는 한국 여성도 이에 못잖다. 중동 지역 여인들의 차도르에 해당하는 의상이 우리의 너울이나 장옷이 될 것이다. 장옷은 두루마기를 소매 옷고름까지 그대로 달아서 머리 위에서부터 뒤집어 쓴 것이고, 너울은 하녀들이 주로 사용하던 것으로 검정 주머니 같은 천으로 몸 전체를 감싸던 겉옷이다. 뿐만 아니라 볼 게, 남바위, 풍채, 만선두리, 조바위, 친의, 가리마, 쓰개수건 등도 신체를 감추는 데 쓰인 의상들이다. 한편 여성의 속옷에 이르면 우리 의상은 자폐성은 정도가 더 심해진다. 속곳이라면 무조건 감추기만 하고 그 이름조차 입에 올리기를 꺼렸던 것 같다. 단속곳, 다리속곳, 고쟁이, 말기 등은 남에게 내보이는 것조차 수치로 알았다. 말기는 가슴을 동여매는 브래지어에 해당하고, 다리속곳이라 통칭되는 서답이나 개짐(월시)은 오늘날의 생리대에 해당한다. 부끄러움에 떨며 그나마 남아 있던 고유어도 서구어를 만나 기꺼이(?) 자리를 내 주고 자신은 꽁꽁 숨고 말았다. 속속곳이라 부르는 속잠방이는 팬티 또는 팬츠로, 치마 속이나 바지 위에 덧입는 단속곳은 슈미즈로, 이 밖에  고쟁이에 해당하는 것들은 각각 거들, 코르셋, 스타킹으로 세분해서 불린다.

  단속곳과 속속곳으로 나뉘는 속곳 또는 속것(각종 내의류)의 고유이름은 이제 찾아보기 어렵다. 새롭고 산뜻한 느낌을 주는 외래어에 비해 고쟁이, 꼬장주, 꼬장바지라고 하면 웬지 꼬장꼬장 때라도 묻어 무슨 고약한 냄새라도 나는지 모르겠다. 아니면 외래어의 힘을 빌려 고유어의 그 부끄러웅을 떨쳐 버리려는 심산인지도 모르겠다. 이제 젊은 여성들은 허벅지나 발은 물론 배꼽까지 드러낸 채 당당히 대로를 활보한다. 출생의 비밀을 간직한, 그 마지막 보루인 배꼽까지 내보이는 세상이 된 것이다. 잃어버린 고유어와 함께 그 옛날 "모시 적삼 안섶 안에 연적 같은 그 무엇..."하던 그 은은한 멋과 매력은 이제 옛말이 되고 만 것 같다.
 


  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2971
    Read More
  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2972
    Read More
  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3701
    Read More
  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3273
    Read More
  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3456
    Read More
  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Date2008.03.25 By바람의종 Views3206
    Read More
  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415
    Read More
  8. 과메기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102
    Read More
  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903
    Read More
  1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Date2008.03.20 By바람의종 Views3971
    Read More
  1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4373
    Read More
  1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Date2008.03.18 By바람의종 Views3775
    Read More
  1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793
    Read More
  1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434
    Read More
  1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Date2007.01.26 By바람의종 Views4151
    Read More
  1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Date2007.01.25 By바람의종 Views3827
    Read More
  1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Date2007.01.24 By바람의종 Views3360
    Read More
  1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Date2007.01.23 By바람의종 Views4069
    Read More
  1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554
    Read More
  2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Date2007.01.21 By風磬 Views6125
    Read More
  2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Date2007.01.20 By風磬 Views4395
    Read More
  22.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Date2007.01.19 By風磬 Views4232
    Read More
  23.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Date2007.01.18 By風磬 Views4263
    Read More
  2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388
    Read More
  25.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Date2007.01.16 By風磬 Views405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