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41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숨지다, 숨이 끊어지다는 말이 죽음을 상징하듯 사람이 살아 있다는 것은 곧 숨을 쉬고 있음을 뜻한다. 태초에 하느님이 흙으로 당신의 형상을 닮은 인간을 빚으시고 코에 숨을 불어넣음으로써 새 생명을 창조하셨다지 않는가. 사람은 젊거나 건강할 때는 배로 숨을 쉬고 나이가 들어 허약해지면 그 숨이 점차 가슴으로 올라오고 최종적으로 목에까지 차 오르면 생의 종말을 맞는다. 임종하는 이의 숨결을 보노라면 인간의 생명을 왜 "목숨"이라 부르게 되었는지를 비로소 깨닫게 된다. 숨쉬기가 지속되는 기간을 일러 "살아 있다"고 한다. 산다는 말의 "살-"은 본래부터 움직임을 뜻하는 동사로서 어떤 동작이 반복됨을 나타내는 말이다. 삶과 죽음은 동사인 "살다"와 "죽다"의 명사형이다. 인간의 생사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수레바퀴와 같은 것이어서 이처럼 처음부터 동사로만 존재했던 것 같다. "사람이 살림살이를 산다"는 말 속에는 "살-"이 네 번 반복된다. 삶이란 말도 그렇지만 움직임을 뜻하는  "살-"은 이처럼 많은 파생어를 만들고 있다. 삶과 죽음은 윤회성사라 하여 끝없이 되풀이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보기에 따라 이 둘은 너무나 먼 거리에 있다. 두 말에서 느끼는 정서나 어감부터 차이가 느껴진다. "살다"라는 말은 우선 "ㅏ"라는 양성모음에  "ㄹ"과 같이 흐르는(구르는) 듯한 소리받침(류음)을 가졌다. 바람이 솔솔 불고, 물이 졸졸 흐르며, 돌이 돌돌 구르는, 말하자면 항상 유전하여 영원히 지속되는 생동감이 느껴지는 그런 음상이다. 반면 "죽다"라는 말은 어떠한가. "ㅜ"라는 어둡고 무거운 음성모음에 닫히고 막히는 소리인 폐쇄음 받침이 우선 숨통을 틀어막는 듯한 느낌이다. 말하자면 오로지 적막과 부패만이 존재하는 정지 상태를 나타낸다고 할까. 생의 단절을 뜻하는, 이런 죽음의 언어를 우리는 어떻게 수용하고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놀랍게도 우리 민족은 삶보다 죽음을 앞세운다. 생사란 한자말을 우리는 "죽사리"라 하고, 목숨을 걸고 어떤 일을 이루고자 할 때도 '죽기 아니면 살기"라 하여 죽음을 앞세운다. 삶보다 죽음을 앞세울 만큼 한국인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일까? 그 해답은 우리말에서 죽음이 진짜 사멸을 뜻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쉽게 찾을 수가 있다. "죽고 못산다"는 말의 속뜻을 생각해 보자. 이는 "좋아 죽겠다"와 마찬가지로 더할 나위 없이 좋다는 뜻이 아닌가. "죽자 사자"라는 말이나 "죽여준다"는 속어도 마찬가지이다. 어린 조카를 보고 "너 죽어!"라면서 무서운 표정을 짓더라도 아이는 생글생글 웃으며 다가오니 말이다.

  누구도 죽음을 면할 수 없듯이 죽음이라는 말도 늘 우리 가까이 있다. 죽음이 두려운 만큼 억지로 가까이 두는지도 모를 일이다. 불가능한 일을 일러  "죽었다 깨도"못한다고 한다. "죽은 목숨, 죽을 상, 죽을 고생, 죽어 지내다, 죽는 소리"등등의 극단적인 표현도 기껏해야 기를 펴지 못한다는, 엄살이 반쯤 섞인 죽는 소리일 뿐이다. 우리말에서 죽음이 진정한 사멸이 아니라는 것은 사물에 대한 표현에서도  잘 들어난다. "시계가 죽었다, 돌던 팽이가 죽었다, 타던 불이 죽었다"면 단순히 사물의 죽음이요, '풀이 죽었다, 사기가 죽었다, 끝말이 죽었다"고 하면 이는 기분이나 감정의 죽음이다. 어찌 고귀한 인간에게 이처럼 감히 죽었다는 말을 함부로 쓸 수가 있을까? 인간 생명의 종식은 우리말에서 좀더 은유적이고 철학적으로 표현된다.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자연의 섭리에 의해 이승을 떠날 따름이다. 숨을 거두고 눈을 감는 것은 세상으로 가기 위한 새로운 몸짓일 분으로 "돌아가시다"라는 죽음의 표현이 이를 잘 대변해 준다. 영어의 "go"나 "gone"과는 의미나 격이 다르다. 우리말에서 돌아가심은 인간 본래의 고향으로 귀의함을 뜻하므로 영어의 "리턴(return)"에 해당한다고 할까. 이처럼 인간의 죽음을 종교적 차원에서 보고 있는 것이다.

  물론 우리말에도 죽음을 "가다"로 표현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골로 가다, 고택골 가다, 북망산 가다, 망우리 가다"등이 그런 예인데, 이런 속어도 영어의 "go"보다는 훨씬 나아 보인다. "골"은 시신을 담는 나무 관을 이르고, 고택골이나 북망산, 망우리는 공동묘지의 대명사로 쓰인다. "골로 가다"라는 말은 "칠성판지다"와 같이 관 속에 들어가 무덤으로 들어갔다는 이야기이다.

  죽음에 관한 저속한 표현으로 "올림대를 놓다"거나 "사자밥 떠 놓았다"라는 은어도 있다. 사자밥은 저승사자를 대접하기 위해 떠 놓는 세 그릇의 밥을 말하고, 올림대는 심메마니(산삼을 캐는 사람)의 은어로서 숟가락을 지칭한다. 이 말은 흔히 말하는 "밥 숟갈  놓았다"는 속언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죽음에 대한 표현은 대체로 사망, 별세, 기세, 운명, 타계, 작고, 서거, 유명을 달리하다 등등 한자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어떻든 이들은 한결 점잖은 표현으로 보인다. 그러나 아무래도 고유어 "돌아가심"보다는 못한 것 같다. 저승은 누구나 한 번은 가야  할, 인간의 고향, 단지 먼저 간다는 것뿐 그렇게 슬퍼할 일만은 아닐 것이다.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죽도록 사랑하며 멋지게 살겠습니다."

  인간의 삶이 윤회를 거듭하는 것으로 믿는다면 죽음은 단지 이런 한 순간의 삶을 더 멋지고 알차게 꾸려 가기 위해 순간순간 결의를 다지는 언어일 따름이다.
 


  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2971
    Read More
  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2969
    Read More
  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3701
    Read More
  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3268
    Read More
  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3452
    Read More
  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Date2008.03.25 By바람의종 Views3206
    Read More
  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412
    Read More
  8. 과메기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097
    Read More
  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903
    Read More
  1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Date2008.03.20 By바람의종 Views3971
    Read More
  1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4373
    Read More
  1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Date2008.03.18 By바람의종 Views3775
    Read More
  1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793
    Read More
  1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434
    Read More
  1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Date2007.01.26 By바람의종 Views4151
    Read More
  1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Date2007.01.25 By바람의종 Views3826
    Read More
  1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Date2007.01.24 By바람의종 Views3357
    Read More
  1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Date2007.01.23 By바람의종 Views4064
    Read More
  1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554
    Read More
  2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Date2007.01.21 By風磬 Views6123
    Read More
  2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Date2007.01.20 By風磬 Views4393
    Read More
  22.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Date2007.01.19 By風磬 Views4232
    Read More
  23.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Date2007.01.18 By風磬 Views4263
    Read More
  2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388
    Read More
  25.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Date2007.01.16 By風磬 Views405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