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397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속살 - 천소영
 


    생활 속의 우리말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장가가고 시집가는 일련의 행사를 뭉뚱그려 결혼 또는 혼례라 한다. 영어의 "웨딩(Wedding)"이나 한자어의 혼인은 둘이 하나가 된다는 합일의 의미로써 남녀 공히 쓰이지만 우리말에는 이처럼 남녀가 각기 달리 표현된다. 장가를 드는 일은 그 옛날 모계사회의 유습으로서 성년이 된 남자가 장인과 장모가 있는 집, 곧 장가로 들었기에 생긴 말이다. 옛날에 신랑은 일정 기간 처가에 머물렀다가 첫아이를 낳으면 비로서 독립하거나 본가로  되돌아온다. 우리말에서 장가든다는 말은 통해도 "시집든다"는 말은 통하지 않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남자가 드는 장가에 반해 시집가는 일만은 다를 수밖에 없으니, 여자는 일단 시집이란 데를 가면 다시는 친정에 되돌아오지 못한다. 시집이란 말은 "새(신)집"이라는 뜻이다. "새"가 변한 말 "시"를 한자로는 시로 적는데, 이는 우리가 만든 고유 한자이다. 새집에서 맞는 새 부모(시부모)는 특별히 신경 써서 모셔야 한다는 뜻으로 "계집 녀"자에 "생각 사"를 붙여 놓았다. 그러고 보면 요즘 세상에는 말 그래도 시집가고 장가드는 청춘 남녀는 매우 드물게 되었다. 대개는 분가하여 따로 살기 때문에 "독립한다"는 말이 결혼에 더 가깝다고 할까. 전통적인 혼사는 중매쟁이에 의해 남녀가 맞선을 보는 데서 시작된다. "선본다"는 말의"선"은 먼저 본다는 뜻에서 "선"일 수도 있고 우선 대략을 본다는 뜻에서 "선"일 수도 있다. 중매는 고유어로 "새들다", 중매쟁이는 "새들꾼"이라 하는데 이는 두 사람 사이에 끼여든다는 뜻이다. 최근에는 이런 과정을 생략해 버리는 부부가 있는데, 혼례를 치르지 않고 그대로 동거해 버리는 "뜨게부부"가 그런 경우이다. "뜨게"라는 말은 "본을 뜨다"와 마찬가지로 흉내낸다는 뜻인데, 정식 부부도 아닌 남녀가 부부 행세를 하는 일종의 예비 부부를 지칭한다. "두더지 혼인"도 이와 유사하다. 정식 혼인이기는 하나 남몰래 하는 것이어서 떳떳하지는 못한 그런 혼사를 이름이다. 옛날 두더지 처녀가 더 멋진 신랑을 택하고자 온갖 부류의 동물을 전전했으나 결국 동족인 두더지 총각에게 가고 말더라는 우화에서 비롯된 용어인데, 혼사를 치를 때 분수에 맞는 상대를 택하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보쟁이다"라는 말도 부정한 혼례를 칭하는 고유어이다. 부부가 아닌 남녀가 야합하여 은밀한 관계를 지속하는, 이른바 내연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예전 같으면 "보쟁이하다" 들킨 연놈은 "멍석말이"를 통해 뭇사람의 응징을 받아야 했다. 기혼 남녀를 일컬어 유부남, 유부녀라고 하는데 이 한자말은 웬지 꺼림칙한 여운이 있다. "유부녀가 어찌했다"면 남녀관계에 어떤 흑막이라도 있는 듯한 느낌을 주니 말이다. 이런 경우 "핫아비, 핫어미"라는 고유어로 불러 줌이 좋을 듯하다. 여기서 "핫"은 "홑(홀)"과 상반되는 말로서 핫바지와 홑바지의 차이와 같은 말로 쓰인다. 다시 말해 배우자가 있을 때는 핫아비요, 배우자 없이 혼자 살 때는 "홑아비, 홀아비"가 되는 것이다. 독신 생활을 "홀앗이"라고 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다. 그런데 홀아비, 홀어미도 다시 짝을 구하여 새 생활을 꾸릴 수가 있다. 재혼 또는 재취가 바로 그것인데, 이를 일러 "속현"이라는 멋진 표현을 쓴다. 거문고와 비파의 끊어진 현은 다시 잇는다는 뜻이니 머잖아 아름다운 선율이 집안에 가득할 것이다. 물론 처음부터 금실(금슬)이 좋았다면 모르겠지만 세상이 어디 그런가. 차선일지라도 다시 이어진 이 현이 절대 끊기지 않으리라 믿고 싶다.

  최근 결혼식에서는 신랑 앞에 서는 "기럭아비"나 "꼭지도둑"도 없어지고, 신부를  따르는 "열두하님"이나 "쪽두리하님"도 찾아볼 수가 없다. 식이 끝난 뒤 시부모를 뵙는 "풀보기"라는 의식도, 친척이나 친구를 불러 한턱 단단히 내는 "자리보기"라는 풍습도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풀보기란 거추장스러운 혼례의장을 풀어놓고 가벼운 복장으로 어른을 뵙는 일이요, 자리보기는 이웃 사람들이 첫날밤을 지낸 신랑 신부의 잠자리를 구경하는 일을 이름이다. 자리보기를 "댕기풀이"라고도 하는데, 오늘날 신혼부부가 "집들이"라는 명목으로 이웃을 초청하여 음식을 접대하고 한바탕 노는 것과 같은 행사다. 댕기풀이에 초대받은 손님들은 대게 예쁘게 꾸민 침실을 기웃거리며 부부 생활을 빗댄 짓궂은 농담으로 신혼부부를 놀려댄다. 본래 신방은 사람의 눈으로 보아주지 않으면 귀신이 먼저 엿본다는 속신이 있다. 첫날밤에 그토록 극성스레 신방의 방문을 뚫어 대던 풍습도 이런 악귀의 침범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지금은 신혼여행지까지 따라 갈 수도 없고 또 침구멍을 낼 창호지문도 없어서 이런 장난을 칠 수 없게 되었다. 생활 환경이 변하고 풍습이 달라져서 그렇다 해도 이런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같은 미풍의 용어만은 그대로  살렸으면 좋겠다.
 


  1. 음료수 용어 2 - 차 한잔의 여유와 향기

    Date2008.03.31 By바람의종 Views2971
    Read More
  2.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Date2008.03.30 By바람의종 Views2977
    Read More
  3. 부위별 고기 명칭 - 아롱사태의 그 은밀한 맛

    Date2008.03.29 By바람의종 Views3706
    Read More
  4. 식기 용어 - 뚝배기보다는 장맛

    Date2008.03.28 By바람의종 Views3279
    Read More
  5. 여성용 의상어 - 아얌과 배꼽티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3460
    Read More
  6. 바느질 용어 - 깁고, 박고, 호고, 공그르고

    Date2008.03.25 By바람의종 Views3213
    Read More
  7. 생사용어 - 삶과 죽음의 언어

    Date2008.03.24 By바람의종 Views3417
    Read More
  8. 과메기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102
    Read More
  9. 질병용어 - 든 병, 난 병, 걸린 병

    Date2008.03.22 By바람의종 Views3910
    Read More
  10. 혼사용어 - 풀보기, 자리보기, 댕기풀이

    Date2008.03.20 By바람의종 Views3976
    Read More
  11. 엄마, 아빠에서 "어이 어이"까지

    Date2008.03.19 By바람의종 Views4375
    Read More
  12. 우리말의 속살 - 유아의 언어 습득 말문은 저절로 트인다

    Date2008.03.18 By바람의종 Views3780
    Read More
  13. 우리말의 속살 - 요람기의 용어 어화둥둥 금자둥아, 얼싸둥둥 은자둥아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795
    Read More
  14. 우리말의 속살 - 임신, 출산 용어 삼신 할머니는 노여움을 푸소서

    Date2008.03.16 By바람의종 Views4438
    Read More
  15. 소련식 기관단총에 '또아리' 같은 게 달려 '따발총'이라고 불렀답니다

    Date2007.01.26 By바람의종 Views4159
    Read More
  16. '곶감'은 꼬챙이에 꽂아서 말린 감

    Date2007.01.25 By바람의종 Views3827
    Read More
  17. '마땅하다'는 고유어에 한자어가 붙어서 생긴 말

    Date2007.01.24 By바람의종 Views3365
    Read More
  18. '지치다'는 원래 '설사하다'라는 의미

    Date2007.01.23 By바람의종 Views4069
    Read More
  19. '노래' '놀이' '노름'은 한 가지에서 나온 단어

    Date2007.01.22 By바람의종 Views3557
    Read More
  20. '얼우-'+'는'(성교하다) --> '얼운'...'어른'은 혼인한 사람

    Date2007.01.21 By風磬 Views6129
    Read More
  21. '지아비' '지어미'의 '지'는 '집'...곧 '집아비, 집어미'의 뜻

    Date2007.01.20 By風磬 Views4400
    Read More
  22. '먹거리'는 옳지 않은 말...그 까닭은?

    Date2007.01.19 By風磬 Views4232
    Read More
  23. '노들강변'은 '노량진 나루터'를 말하는 고유명사 ...버드나무와 상관없어

    Date2007.01.18 By風磬 Views4263
    Read More
  24. '성냥'은 원래 한자어...'석뉴황'이 음운변화를 겪은 것

    Date2007.01.17 By風磬 Views3393
    Read More
  25. 애국가 가사 중의 '바람서리'는 '풍상'(바람 풍, 서리 상)이란 뜻

    Date2007.01.16 By風磬 Views405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