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5103 추천 수 2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1. '노닐다'는 '놀다 + 닐다의 합성어...'닐다'는 '가다'의 뜻

  '한가롭게 이리 저리 거닐며 놀다'의 뜻을 가진 '노닐다'의 어원은 아주 쉽게 풀 수 있지요. 이것은 '놀다 + 닐다'의 합성어입니다. '놀다'의 뜻은 잘 아실 것이고, '닐다'는 '가다'의  뜻입니다. 옛말에서는 '니다'와 '닐다'의 두 형태가 '가다'의 뜻을 지니고 있었지요.

  '니은' 앞에서 '리을'이 탈락하는 현상은 흔히 발견되는 우리 국어의 음운현상이지요. '살다'의 어간 '살-'에 '-니'가 붙으면, '사니'가 되듯 말입니다. 요즈음은 이러한 현상을 없애기라도 하듯 '살으니'로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만, 이것은 유추에 의한 현상이지요.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188
20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176
19 우리말의 상상력 1 - 6. 가루와 분절 바람의종 2009.05.28 3170
18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164
17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160
16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159
15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155
14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149
13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128
12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127
11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109
10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094
9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093
8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078
7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067
6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3048
5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3020
4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3011
3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3009
2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979
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9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