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유'는 일본어에서 온 말이 아니라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말


 


  '자유'라는 말은 어디서 온 말일까요? 보통은 일본어에서 온 줄로 알고 있을 것입니다. 신문에 어느 국어학 전공 교수가 쓴 글을 읽어 보니, 이 '자유'라는  말도 일본어에서 온 단어라고 하였더군요.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자유'라는 말은 중국의 백화문에서 온 단어입니다.  17세기에 간행된 우리 나라  문헌 중에 '어록해'라고 하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은 중국에서 사용 하는 속어인 백화문을 풀이한 책입니다. 이 책에는 '자유'를 '제 주변대로' 또는 '제 마음으로 하  다'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한자로 된 문장인 한문이 사용되다가 송나라 때부터 속어가 사용되었습니다. 한문은 한자의 뜻만 알면 그 문장이나 단어의 뜻을 알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이 속어는 그렇지를 않아서, 중국의 문헌으로 공부를 하던 사람들이 애를 먹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에서는 속어(즉 구어이지요)로서 옛날 한문을 풀이한 책도 나오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의 문헌을 읽을려고 하니까, 이 속어인 백화문을 이해하지 못하여 미암 유희춘, 퇴계 이황 등이 이들의 뜻을 주석을 달아 설명하였는데, 이것을 모으고 새로 주석하여 만든 책이 '어록해'입니다.


 


홍 윤 표 (단국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이 태 영 [전북대 국문과 교수, 국어정보학회 회원]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9-14 16: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음료수 용어 1 - 꽃 꺽어 산 놓으며 드사이다. 바람의종 2008.03.30 3134
20 우리말의 상상력 2 - 2. 새로움과 관동(關東) 바람의종 2009.12.01 3121
19 문래 바람의종 2008.05.05 3116
18 목포와 몽탄강 - 유달산과 삼학도의 노래 바람의종 2008.09.18 3113
17 동래와 영도 - 새울이뫼에서 고마뫼로 바람의종 2008.09.24 3113
16 몸짓 언어 2 - 가슴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5 3110
15 글의 어원 - "긋다"에서 그리움까지 바람의종 2008.04.22 3104
14 농경 생활 용어 1 - 북돋워 주고 헹가래치고 바람의종 2008.04.06 3096
13 경주와 남산 - 서라벌의 탄생 신화 바람의종 2008.09.09 3080
12 우리말의 상상력- 3. 물과 불의 만남 - 생명의 기원 바람의종 2010.02.08 3068
11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3/4) 바람의종 2009.05.09 3054
10 백령도와 심청 - 흰 새가 일러 준 기다림의 섬 바람의종 2008.07.26 3052
9 몸짓 언어 1 - 눈으로 하는 말 바람의종 2008.04.14 3050
8 강화와 마리산 - 반도 한가운데 솟은 머리산 바람의종 2008.07.28 3047
7 우리말의 상상력 1 - 2. 굿과 혈거생활 바람의종 2009.05.02 3025
6 노름 용어 - 고스톱 왕국은 피바가지 바람의종 2008.05.05 2985
5 보은단 바람의종 2008.05.08 2981
4 우리말의 상상력 1 - 1. 언어적 상상력의 바탕 (1/2) 바람의종 2009.04.14 2976
3 우리말의 상상력 2 - 2. 마니산과 하늘신 바람의종 2009.11.29 2963
2 인명의 작명 - 이름을 불러 주는 의미 바람의종 2008.07.18 2922
1 서울과 한강 - "아리수"가의 새마을 바람의종 2008.07.12 29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