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22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곧은밸’과 ‘면비교육’

북녘의 ‘곧은밸’은 “너무 단순하고 고지식한 사람을 비겨 이르는 말”이다. 물론 이외에도 생리적으로는 창자의 한 가지인 ‘직장’을 가리키기도 하고, 또 음식을 먹고 바로 위생실(우리의 화장실)로 가는 사람을 농으로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널리 쓰이는 것으로서 첫째 뜻으로 사용된 예를 보면 “가만히 지내보면 성님네 저 애가 갈범이라면 우리 저놈은 너구리라니까. 창억이가 곧은밸이라면 우리 저 녀석은 남보다 내장이 열 발은 더 길구 슬슬 사려졌을 게요. 속에 무슨 생각을 품고 다니는지….”(<근거지의 봄>,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43쪽)와 같은 것이 있다.

‘면비교육’은 “교육사업의 비용을 부형들에게 부담시키지 않고 전적으로 국가가 부담하는 교육”이다. 말하자면 ‘무상교육’의 뜻이다. 문예작품에는 “여기도 지난날에는 오가자만 못지않게, 아니 오가자보다 훨씬 더 복잡한 형세였다. 그런 것을 김성주 동무가 와서 불과 한 해 사이에 이처럼 혁명화된 농촌을 꾸려 놓고 면비교육까지 실시하고 있다. 이것을 옆에서 보고 체험도 적지 않게 한 우리들은 왜 이 모양인가.”(<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7년, 127쪽)와 같은 예가 나온다. 이때 ‘면비-’는 중국어식 표현이다.

전수태/전 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5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0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17
18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12
179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238
178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991
177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279
176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56
175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6
174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3
17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02
172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26
17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958
170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32
169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179
168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36
167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46
166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48
16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23
164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34
163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353
»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21
161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34
160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891
159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