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784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긴장’과 ‘비난수’

‘긴장’은 우리의 경우에는 “마음을 늦추지 않고 정신을 차리는 것” 또는 “서로의 관계가 악화되어 분쟁이 일어날 듯한 상태”의 뜻으로서 ‘긴장을 풀다’, ‘긴장의 연속’, ‘긴장이 고조되다’ 등으로 쓰인다. 동사로서는 “너무 긴장하지 말고 차분히 해라”, ‘긴장된 순간’ 등 ‘-하다’, ‘-되다’의 형태로 쓰인다. 그런데 북녘에서는 ‘긴장하다’가 주로 형용사로 쓰이면서 “매우 긴요하고 절실하다”의 뜻을 갖는다. “그래서 나도 몇 번 말씀드렸습니다만 지배인 동무는 나라의 철 사정이 긴장한데 3, 4분기 계획까지 하고보자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뜨거운 심장>, 변희근, 문예출판사, 1984, 5쪽)와 같이 쓰인다.

‘비난수’는 북녘 사전에 “미신에서 무당이 굿이나 푸닥거리를 할 때 귀신에게 빌면서 하는 지껄임”으로 풀이되어 있다. 필자가 고등학교 1학년 때 김소월 시 ‘비난수하는 밤’을 읽으면서 ‘비난수’의 뜻을 몰라 애태운 일이 있었는데 이것이 평안도 방언이었으니 모르는 것이 당연했다. “부성례는 가슴이 철렁했다. 도대체 무슨 판국일까? … 그는 무엇에 홀린 것처럼 두 발이 토방에 붙은 채 비난수에 심취되어 가는 강씨를 지켜보기만 했다.”(<그들의 운명>, 현희균, 문예출판사, 1984, 154쪽)와 같은 용례가 있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4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108
18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12
179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238
178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991
177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268
176 ‘대틀’과 ‘손세’ 바람의종 2010.05.28 13656
175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486
174 ‘달 건너 소식’과 ‘마세’ 바람의종 2010.05.31 10723
173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096
172 ‘넓다´와 ‘밟다´의 발음 바람의종 2010.08.15 22624
17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954
170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214
169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162
168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436
167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846
» ‘긴장’과 ‘비난수’ 바람의종 2010.03.30 17845
165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117
164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732
163 ‘괴담’ 되돌려주기 風文 2023.11.01 1344
162 ‘곧은밸’과 ‘면비교육’ 바람의종 2010.04.26 10215
161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29
160 ‘경우’ 덜쓰기/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5 6891
159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風文 2023.10.13 13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