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1

가마귀

조회 수 9040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마귀

사람이름

세조 4년(1458년), 조영무 장군의 손자 조완규는 계유정난 때 간적으로 몰렸다. 부인 ‘조이’, 딸 ‘가이’, 누이 ‘정정’, 첩의 딸 ‘옥금이’뿐만 아니라 조카인 ‘가마귀’(加麻耳) 또한 노비로 갔다. 10년 지나 가마귀와 정정은 풀려났다. 까마귀는 중세말로 ‘가마괴’인데 이름에 ‘가마귀’로 쓰이고 있다. 땅이름에 ‘가마괴목’(加<9EBF>塊項)이 있음을 볼 때 ‘가마괴·가마귀’가 함께 쓰였던 것 같다. ‘가마귀’는 오랑캐 사람이름에도 보인다.

‘귀’로 끝나는 이름에 ‘개귀·금귀·단귀·돗귀·멍귀·쇠귀·죵귀·칠귀’ 따위가 있다. ‘개귀·돗귀·쇠귀’는 ‘개·돼지·소’의 귀와 닮은 모양이다. 나귀·방귀·자귀라는 이름도 있다. 날 방향이 자루 방향과 나란하면 ‘도끼’, 수직하면 ‘자귀’다. 자귀보다 큰 것이 ‘까뀌’다. ‘귀’로 시작되는 이름에 ‘귀개·귀금이·귀덕이·귀동이·귀딘이·귀망이·귀먹덩이·귀복이·귀톨이’가 있다. ‘멍귀·귀망이’는 같은 뜻의 말로 생각된다. 고장말 ‘귀먹댕이’(귀머거리)는 ‘귀먹덩이’의 내림인 모양이다.

귀는 ‘바깥귀·가운뎃귀·속귀’로 나뉘며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을 ‘귓불/귓밥’이라고 한다. 남의 말을 잘 들으려면 먼저 귀를 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를 존중한다면 마음으로도 소통은 가능할 것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85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61
29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50
289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9
28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59
287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35
286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96
285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258
284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879
283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80
282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087
281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104
28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12
279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52
278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095
277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31
276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282
275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23
27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78
273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02
27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9977
271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10
270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299
»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