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7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14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82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2987
3146 통합키로, 참석키로 바람의종 2010.05.08 12405
3145 통틀어 바람의종 2007.03.30 7061
3144 통째/통채 바람의종 2008.09.03 11545
3143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177
3142 통음 바람의종 2012.12.21 21051
»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730
3140 톨마 file 바람의종 2009.09.21 7386
3139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592
3138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5999
3137 토씨 하나 잘못 쓰면 바람의종 2010.05.06 8236
3136 토를 달다 바람의종 2008.02.01 13603
3135 토끼 바람의종 2008.10.22 7898
3134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176
3133 터울 바람의종 2008.11.11 6955
3132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636
3131 터무니없다 바람의종 2010.04.13 10432
3130 터무니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31 11344
3129 택도 없다. 바람의종 2010.08.15 14420
3128 태풍의 눈 바람의종 2008.01.31 10377
3127 태어나다 바람의종 2012.02.28 9388
3126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246
3125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6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