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1.16 08:08

‘통일’의 반대말

조회 수 15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일’의 반대말

‘낮’의 반대는 ‘밤’, ‘살다’의 반대는 ‘죽다’. 반대말은 어떤 상태의 양쪽 끄트머리로 우리의 시선을 잡아당긴다. 그 사이에 있는 우여곡절은 놓치게 하지. ‘깨끗하다-더럽다’ ‘따뜻하다-차갑다’ ‘다정하다-무정하다’처럼 사회문화적인 평가가 담긴 말은 한쪽으로 마음이 쏠리게 하지.

'통일’의 반대말은 뭘까? ‘분단’이나 ‘분열’쯤 될 듯. 분단, 분열은 ‘쪼개지고 갈라졌다’는 부정적 감정을, 통일은 ‘하나되고 일치한다’는 긍정적 감정을 일으킨다. ‘우리의 소원’이기도 하니, 거역할 수 없는 지상명령이다. 통일만 된다면, 긴장과 대립은 사라지고 상처는 치유되며 온 세상에 일치와 단결의 함성이 드높아질 거라는 유토피아적 희망을 품게 된다.

그러다 보니, 분단, 분열 쪽은 쳐다보지도 않는다. 일상생활에서도 일사불란한 통일을 좋아한다. 식당에서 ‘짜장면으로 통일!’을 외칠 때 뿌듯한 일체감을 느낀다. 통일은 엄연히 존재하는 차이를 가려야 성립한다. 그런 점에서 획일화의 위험을 안고 있다.

반대편에 있는 ‘분단’, ‘분열’을 보자. 요즘 말로 바꾸면 ‘자유’나 ‘자치’라 하겠다. 각각의 자유가, 서로의 다름이 당당히 추구되고 성취되어야 한다. 그런 가운데 ‘그래도 함께할 구석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답이 떠올라야 ‘같은 말과 피’라는 민족적·유전자적 차원보다 진일보한 통일이 가능하리라. 우리에게 더 많은 권력 분산, 더 많은 지방색, 더 많은 자치가 필요하다. 통일과 자유, 자치를 절묘하게 결합시키는 게 시대적 과제다. 반대말의 사이를 헤엄치며, 반대말을 뒤섞음으로써.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31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427
245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158
244 가 삘다 file 바람의종 2009.07.22 5682
243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01
242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012
241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186
240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544
239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562
23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899
237 ○○노조 風文 2022.12.26 1144
236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186
235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23
234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966
23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253
232 “산따” “고기떡” “왈렌끼” new 風文 2024.05.31 9
231 “사겨라” “바꼈어요” new 風文 2024.05.31 18
230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491
229 “김” 風文 2023.03.06 1459
22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52
227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49
226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08
225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6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