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02 22:34

삼촌, 서방님, 동서

조회 수 1110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촌, 서방님, 동서

미국에 이민 가 계시는 형수님에게서 국제전화가 왔다. 시시콜콜한 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을 통화했다. "삼촌, 잘 지내시죠. 애들도 잘 자라고, 고모도 회사 잘 다니죠?" "그럼요. 형님네도 다들 안녕하시죠. 형수님도 건강하시고요?" 윗글에 나오는 대화 내용 중 아이들이 사용하는 호칭인 '삼촌' '고모' 같은 표현으로 시동생이나 시누이를 부르는 것을 자주 본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결혼하지 않은 시동생은 '도련님'이라 하고, 결혼한 후에는 '서방님'이라 칭한다. '서방님'은 '남편'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하지만 남편을 의미하는 '서방님'은 오늘날엔 거의 쓰이지 않는 옛말투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정한 표준화법에서 남편에 대한 호칭어로 '여보, ○○씨, ○○아버지, ○○아빠, 영감, ○○할아버지' 등으로 정하고 '서방님'은 넣지 않은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결혼한 시동생과 남편을 동시에 언급할 때에는 남편에 대한 호칭을 다른 것으로 바꿔 쓰는 것이 좋다. 남편의 형에게는 '아주버님'이라 칭하고, 남편의 누나는 '형님'이라 부른다. 간혹 남편의 누나를 친근감의 표시로 '언니'라 부르는 경우가 있지만 맞지 않는 표현이다. 시동생의 아내는 '동서'로 부르는 것이 옳다. 손위 동서에 대해선 언제나 '형님'으로 부르고 존댓말을 써야 한다. 한편 손아래 동서라도 자신보다 나이가 많을 때는 존댓말을 사용하는 것이 옳다. 그러나 호칭은 그대로 '동서'라 칭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58
1610 삼수갑산을 가다 바람의종 2008.01.16 8582
1609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04
1608 삼우제 바람의종 2007.07.20 10721
1607 삼인칭 대명사 / '동양'과 '서양' 風文 2020.07.06 2037
1606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26
1605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41
1604 삼촌 바람의종 2008.01.27 8093
» 삼촌, 서방님, 동서 바람의종 2009.05.02 11106
1602 삼팔 따라지 바람의종 2008.02.24 10463
1601 삽사리 바람의종 2009.08.06 5828
1600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67
1599 삿대질 風磬 2006.12.29 6969
1598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58
1597 상극 바람의종 2007.07.20 6189
1596 상무성 바람의종 2010.09.29 7736
1595 상봉, 조우, 해후 바람의종 2012.12.17 22013
1594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32
1593 상서롭다/상스럽다 바람의종 2009.03.17 27879
1592 상석 風文 2023.12.05 1152
1591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559
1590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24
1589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7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