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27 17:00

보게‘마씀’

조회 수 704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보게‘마씀’

고장말

“혼디 모앙 살아 보게마씀.”(한데 모여 살아 보게요) ‘-마씀’은 제주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말맛을 표준어로 바꿔 살리기는 어렵지만, 굳이 대어 보자면 들을이를 두루 높이는 데 쓰는 ‘-요’에 가장 가깝다. ‘-마씀’은 제주에 간들 쉽게 들을 수 있는 말이 아니다. 말할이와 들을이가 절친한 관계가 아니면 잘 쓰지 않기 때문이다. “고 선생은 무슨 큰일을 헌다고 야단인고마씀.”(<불과 재> 현길언) “어들 감수광?”(어디 가십니까?) “나마씀?”(나요?)

‘-마씀’은 ‘마슴·마시·마씨·마씸’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아니, 그게 무슨 말씀이우꽈? 순이 삼춘이 돌아가셔서마씸?” “이장님마씸, 우리 사촌동상이 금녕지서에 순경으로 있우다. 김갑재라고마씸.”(<순이 삼촌> 현기영)

‘-마씀’과 바꿔 쓸 수 있는 제주말은 ‘-양’이나 ‘-예’다. ‘-예’는 제주말보다는 경상도 사람들의 전형적인 말투로 더 알려진 고장말이다. “삼춘, 어들 감수광?” “서울에 감수다양.” “자윈 혼저 감저양.”(저 아이는 혼자 가네요.)

다만 ‘-마씀’은 표준어 ‘-습니다’의 제주말 ‘-수다, 우다’와 함께 쓸 수 없지만, ‘-양’은 그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제주 사람들은 “난 서울에 감수다마씀.” “버리밧(보리밭)이 사뭇 해영허게(하얗게) 눈이 덮였는디 말이우다마씀”과 같이 말하지 않는다.

‘-마씀’은 전라도말 ‘-라우’나 충청도 말 ‘-유’와 같이 제주말의 한 전형을 드러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53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18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6678
1870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358
1869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800
1868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24
1867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567
1866 벗기다 / 베끼다 바람의종 2012.07.06 12583
1865 벗어지다, 벗겨지다 바람의종 2008.11.15 8022
1864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650
1863 베테랑 바람의종 2010.07.10 9566
1862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19
1861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333
1860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40
1859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36
1858 벽창호 風磬 2006.11.30 5926
1857 변죽 바람의종 2010.11.02 10940
1856 변죽 바람의종 2010.12.19 10032
1855 변죽을 울리다 바람의종 2008.01.11 11346
1854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039
1853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20
1852 별내와 비달홀 바람의종 2008.02.01 8634
1851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494
1850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540
1849 병구완, 병구환, 병간호, 고수련 바람의종 2011.01.30 124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