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7 13:18

굿

조회 수 802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굿

글자에 적힌 것만 참된 줄로 알던 역사학에서는 중국 글자를 빌려 써놓은 우리 겨레의 삶이 중국 따라 하기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땅밑에 파묻힌 삶의 자취를 찾고 이름없는 백성의 삶으로 눈길을 돌린 고고학·인류학·민속학이 일어나 살펴보니까 우리 겨레의 삶이 동아시아 문명을 밝히고 이끌어온 횃불이었음이 두루 드러나고 있다. 이처럼 자랑스런 지난날 우리 겨레 삶의 뿌리에 ‘굿’이 있고, 굿 한가운데 ‘서낭’이 있다.

굿은 사람이 서낭을 모시고 함께 어우러져 서로 주고받는 노릇이다. 사람과 서낭이 한자리에서 만나 뜻을 주고받으며 서로 사랑을 나누는 몸짓이 굿이다. 하느님은 아픔과 서러움에 시달려 울부짖는 사람의 바람을 언제 어디서나 귀담아 들으며 서낭을 보내어 어루만져 주지만 사람은 그런 서낭을 눈으로 보고 귀로 듣지 못한다. 굿은 그런 사람에게 서낭을 보고 들을 수 있게 해준다.

굿의 임자는 하느님이고 서낭이지만 굿을 벌이는 노릇은 하느님이나 서낭이 몸소 하지 않아서 굿을 벌이는 몫을 ‘무당’이 맡는다. 무당은 사람과 서낭을 맺어주는 고리 노릇을 하며 굿을 다스린다. 무당이 서낭을 굿판으로 맞이하고, 사람의 바람을 서낭에게 올려주며, 서낭의 꾸짖음과 어루만짐을 사람에게 내려주고, 서낭과 사람이 서로를 주고받아 어우러지게 하며, 마침내 서낭을 본디 자리로 보내준다. 이런 굿이 지난날 하느님과 서낭을 믿으며 동아시아 문명을 이끌면서 살아온 우리 겨레 삶의 뿌리였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1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7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76
2886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風文 2022.08.22 1212
2885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47
288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17
2883 국민들 바람의종 2010.09.08 11709
2882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239
2881 국수 바람의종 2007.06.05 7431
2880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631
2879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93
2878 국어의 품사 1 바람의종 2009.12.14 14958
2877 국으로 바람의종 2010.11.25 10957
2876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72
2875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69
2874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222
2873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44
2872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2
2871 굴뚝새 바람의종 2009.07.08 6084
2870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670
2869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10.05.18 11525
2868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46
2867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40
286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9
2865 굽신거리다 바람의종 2008.10.22 67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