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9.19 14:27

호함지다

조회 수 856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호함지다

한라산과 백두산에 눈이 내렸다. 같은 눈을 보고도 남북은 표현을 달리한다. 남한 말 ‘탐스럽다’에 해당하는 북한 말 ‘호함지다’가 그 경우다. “앞날을 예측할 수 없지만 호함지게 내린 첫눈을 보는 순간 용기가 났다” 식으로 쓰인다. 이 예문에선 ‘호함지다’가 복합 의미(흐뭇하다+탐스럽다:흐뭇할 만큼 탐스럽다)를 담고 있지만 문장에 따라 남한 말 ‘탐스럽다’와 ‘흐뭇하다’의 (의미상) 경계를 넘나들면서 호환되지 못하는 특성이 있다.

“즐겁던 일은 한바탕 호함진(흐뭇한) 웃음 끝에 흔히 잊어지고 마는데 어려운 나날들에 맺힌 사연은 기억의 쪽문을 열고…괴여 오르곤 한다.”-김철 ‘천지의 물줄기’
“가을이 됐으니 호함진(탐스러운) 열매가 주렁주렁 열려야 할 텐데 웬일인지 쭉정이 농사뿐이다.”-김철 ‘뻐꾸기는 철없이 운다’

‘호함지다’를 더 살펴보니 ‘값지다·기름지다·멋지다’ 등이 떠오른다. ‘사물이 어떤 성질이나 모양이다’라는 것을 강조할 때 남한에선 명사에 접사 ‘-지다’를 흔히 붙여 사용한다. ‘호함지다’ 또한 ‘호함+지다’ 구성일 것 같은데 북한 사전엔 ‘호함’과 ‘-지다’를 따로 분류해 놓지 않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55
70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8917
69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21
68 호두까기 인형 바람의종 2010.05.29 11401
67 호래자식(후레자식) 바람의종 2007.04.27 14600
66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445
65 호박고지 바람의종 2008.01.05 9043
64 호분차 온나! file 바람의종 2010.03.26 12519
63 호송 / 후송 바람의종 2010.03.06 13579
62 호스테스 바람의종 2008.02.20 11428
61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178
60 호우, 집중호우 / 큰비, 장대비 바람의종 2009.07.29 8321
59 호치키스 바람의종 2010.03.06 10052
58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747
57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930
56 호프 바람의종 2011.11.21 13190
»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566
54 혹성, 행성, 위성 바람의종 2010.07.21 11188
53 혼동, 혼돈 바람의종 2010.05.05 13030
52 혼성어 風文 2022.05.18 1228
51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689
50 혼저 옵소예 file 바람의종 2009.11.09 10260
49 홀몸 바람의종 2007.04.27 94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