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27 16:07

한마음 / 한 마음

조회 수 13025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마음 / 한 마음

ㄱ. 한동네, 한마음, 한목소리, 한집안

위에 예시한 단어들은 모두 '한'과 결합하여 이뤄진 복합어이다. '한'은 본래 하나를 뜻하는 수관형사인데 그 의미가 확장되어 '같은'의 뜻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동네'는 하나의 동네가 아니라 '같은 동네'를 뜻하고, '한마음'은 '하나의 마음'이 아니라 '같은 마음'을 뜻한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그 뜻에 따라 '한'의 문법적 성질을 달리 규정하고 있다. 즉, '하나'를 뜻할 때에는 관형사, '같은'을 뜻할 때에는 접두사로 구별하였다. 이러한 처리는 얼핏 그럴듯해 보이지만 다분히 문제를 안고 있다. 접두사는 예외 없이 다음 낱말과 붙여 써야 하는데, '한'의 경우에는 그렇게 하기 어려울 때가 더 많기 때문이다.

가령, '한 공장, 한 자동차, 한 학교, 한 회사' 등에서는 '한'이 '같은'의 뜻일 때라도 다음 말과 붙여 쓰기 어렵다. 실제로 이 말들은 ㄱ의 경우와 달리 사전의 표제어로도 올라 있지 않다. 이는 한 단어가 아님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은 뜻의 분화와 상관없이 언제나 관형사로만 보는 것이 타당하다. ㄱ의 경우는 파생어(접두사+명사)가 아니라, 합성어(관형사+명사)로 보는 것이 옳다. 이는 '새'가 접두사가 아닌 관형사임에도 '새날, 새댁, 새바람, 새순'의 합성어를 만드는 것과 같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6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1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289
180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454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008
17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793
177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864
176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590
175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440
174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393
1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265
172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573
17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5974
17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14
16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588
16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565
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245
16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136
16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9999
16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188
16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086
162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09
16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336
»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025
159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