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080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과거 우리의 입맛을 사로잡았던 것은 '달디단' 다방 커피다.' '이렇듯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아랫목에서 마시는 '달디단' 감주 한 그릇이 생각난다.' '인생에서 '달디단' 결실은 '쓰디쓴'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말에서 형용사의 뜻을 강조할 때 쓰는 방법 중 하나는 그 어간을 반복해 사용하는 것이다. 앞글에서 '달디단, 쓰디쓴'은 '달다, 쓰다'라는 말을 강조하기 위해 두 어간 사이에 어미 '-디-'를 붙여 '매우 달다, 매우 쓰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법은 '-디-'를 붙이는 것 말고도 '-나-, -고-'를 붙이는 형태(기나길다, 머나멀다/ 하고많다)가 있다. 그러나 '-고-'의 형태는 '하고많다('하다'는 '많다'의 고어)'를 제외하면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길고 길다, 멀고 멀다 등).

그런데 '달디단'이란 말은 널리 쓰이지만 맞춤법엔 어긋난다. 기본형이 '다디달다'이므로 '다디단'이라고 써야 옳다. 한글 맞춤법에서 끝소리가 'ㄹ'인 말과 다른 말이 어울릴 적에 'ㄹ'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은 안 나는 대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끝소리 'ㄹ' 은 대체로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한다(따님, 다달이, 마소, 싸전 등).

'아주 가늘고 작다, 성질이 아주 좀스럽다'를 뜻하는 '자디잘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글씨가 자디잘아서 읽기가 어렵다/ 남자가 그렇게 자디잘아서야 어디 쓰겠느냐). 그러나 '매우 길다'를 나타내는 '길디길다'(길디긴 행렬이 끝없이 이어졌다)는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55
1610 전운 바람의종 2009.06.12 7494
1609 피죽새 바람의종 2009.06.12 9579
1608 선택사양 바람의종 2009.06.11 6728
1607 쿠테타, 앰플, 바리케이트, 카바이드 바람의종 2009.06.11 8387
1606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613
1605 믿그리 바람의종 2009.06.11 6328
1604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80
» 달디달다, 다디단, 자디잘다, 길디길다 바람의종 2009.06.09 10806
1602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902
1601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10001
1600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86
1599 날더러, 너더러, 저더러 바람의종 2009.06.01 7652
1598 그라운드를 누비다, 태클,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9.06.01 9436
1597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873
1596 나이 바람의종 2009.06.01 6000
1595 주위 산만, 주의 산만 바람의종 2009.05.31 10907
1594 토씨의 사용 바람의종 2009.05.31 6166
1593 찌르레기 바람의종 2009.05.31 8764
1592 찌찌 바람의종 2009.05.31 7506
1591 망년회(忘年會) 바람의종 2009.05.30 6011
1590 재원(才媛), 향년 바람의종 2009.05.30 9996
1589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