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066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수많은 사람 중에 그녀밖에 안 보이고, 멀리서도 그녀의 목소리만 들리고, 김태희보다 그녀가 더 사랑스럽다고 한다면? 그의 눈엔 콩깍지가 씐 걸까, 쓰인 걸까, 씌운 걸까.
 ‘콩깍지가 쓰인’ ‘콩깍지가 씌운’이라고 표현해선 안 된다. “그의 눈에 콩깍지가 씐 거군요”라고 답해야 어법에 맞다.이때의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나의 자동사다. “술을 마시면 이성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콩깍지가 쓰인다(씌운다)’는 속설은 사실일까?”와 같이 표현하는 건 잘못이다. ‘씐다’로 고쳐야 한다. ‘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된다. 불필요한 ‘-이-’를 넣어 ‘씌인/씌이다/씌였다’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지만 기본형이 ‘씌다’이므로 ‘씐/씌다/씌었다’로 사용하는 게 바르다.
 ‘눈에 콩깍지가 씌다’ 대신 ‘눈에 콩 꺼풀이 씌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콩 꺼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 콩깍지든 콩 꺼풀이든 앞이 가려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는 ‘씌다’이다.
  귀신 따위에 접하게 되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씌다’를 쓴다. “귀신이 쓰였다(씌웠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씌었다’로 바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9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4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90
2974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217
2973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901
2972 외곬, 외골수 바람의종 2012.12.03 17797
2971 서식지, 군락지, 군집, 자생지 바람의종 2012.11.30 20906
2970 박물관은 살아있다 바람의종 2012.11.30 18446
296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224
2968 펴다와 피다 바람의종 2012.11.27 50774
2967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274
2966 명-태 바람의종 2012.11.23 20763
2965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739
2964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04
2963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524
2962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13
2961 표피 바람의종 2012.11.14 77630
296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29
»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664
295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07
295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03
295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43
2955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509
2954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34
2953 세노야 바람의종 2012.11.01 150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