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57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34
1500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24
1499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30
1498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8
1497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1496 괴나리봇짐, 쇠털, 괴발개발 바람의종 2008.05.23 9240
1495 되놈 바람의종 2008.02.23 9241
1494 댕기풀이 바람의종 2010.08.29 9248
1493 미셸, 섀도 바람의종 2010.04.24 9253
1492 반죽이 좋다 바람의종 2008.01.10 9254
1491 쑥밭이 되다 바람의종 2008.01.19 9254
1490 국면 바람의종 2007.06.04 9255
1489 동백꽃 바람의종 2010.07.09 9259
1488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59
1487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66
1486 루즈 바람의종 2008.02.11 9266
148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266
1484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68
1483 등용문 바람의종 2010.07.17 9272
1482 바람의종 2012.07.27 9272
148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273
1480 싸드락싸드락 묵소! 바람의종 2009.11.23 9275
1479 가(價) 바람의종 2011.11.16 92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