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7 11:05

걸맞은, 알맞은

조회 수 9014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걸맞은, 알맞은


세상 일에는 각자에게 주어진 자리가 있다. 그리고 그 자리에 '걸맞는(?)' 행동이 요구된다. 맞춤법에서도 품사에 따라 알맞은 어미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틀린 줄도 모르고 무심코 쓰는 말이 '걸맞는'이다.

표준어 '걸맞은'이 되레 틀린 말처럼 보일 정도다. 그런데 왜 어미를 '∼는'으로 쓰면 안되고 '∼은'으로 써야 할까? 동사(현재형)에는 동사의 어미('-는')가 붙고, 형용사에는 형용사의 어미('-은')가 붙는데, '걸맞다'는 형용사이니 '-은'이 붙을 수밖에. '뛰는 놈 위에 나는 놈'에서 뛰다/날다는 동사이므로 '-는'이 붙고, '깊은 우물 맑은 물'에선 깊다/맑다가 형용사이니 '-은'이 붙는다. 즉, 형용사엔 '-는'이 붙을 수 없다.

그렇다면 '깊는/맑는'이란 말이 틀렸다는 건 바로 알겠는데, 왜 '걸맞는'은 틀린 줄도 모를까? 형용사 '걸맞다' 뒤에 붙는 '맞다'가 단독으로 쓰일 때는 동사여서 '맞는'으로 활용되는데, 이것과 혼동되기 때문이다. 비슷한 예로 '알맞다'가 있다. '알맞다'가 동사인지 형용사인지만 알아맞히면 '알맞는'이 맞는지 '알맞은'이 맞는지 쉽게 알 수 있다.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2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11
1566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29
1565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2
1564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3
1563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35
1562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38
1561 구축함 바람의종 2007.06.04 9039
1560 메리야스 바람의종 2010.01.06 9042
1559 주최와 주관 바람의종 2010.02.21 9042
1558 바람의종 2007.09.22 9042
1557 카키색 바람의종 2008.10.26 9046
1556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51
1555 첫째, 첫 번째 바람의종 2008.09.06 9055
1554 엄한 사람 잡는다 바람의종 2011.11.14 9055
1553 긴장하다와 식반찬 바람의종 2010.01.11 9058
1552 늑장 바람의종 2010.05.13 9065
1551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67
1550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1549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78
1548 부엌,주방,취사장 바람의종 2010.05.11 9079
1547 눈이 많이 왔대/데 바람의종 2012.09.20 9083
1546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084
1545 깡통 바람의종 2008.02.02 90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