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2.04 16:46

실랑이

조회 수 898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랑이

지난주에 동의어를 설명하면서 “말은 본뜻에다 다른 뜻을 더하기도 하고 아예 다른 뜻으로 옮겨가기도 한다”고 했다. 어느 시점에서 어느 낱말의 형태와 의미가 특정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바뀌기도 한다는 말이다. ‘어리다’는 원래 ‘어리석다’는 뜻이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이화·동화·유추·오분석 등의 언어현상이 이런 변화를 일으킨다. 때로는 비유·상징 등의 수사(修辭)가 변화를 일으키기도 한다.

‘복지부 출입 기자와 잠시 실랑이를 벌였다.’ 신문 기사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실랑이’는 본래 ‘실랑이질’로서 남을 못살게 굴어 시달리게 하는 짓이란 뜻이었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남을 괴롭히는 것이 실랑이였다. 양쪽이 서로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고 옥신각신하는 데는 ‘승강이’라는 말을 썼다. 기사 내용을 보면 출입기자와 벌인 것은 실랑이가 아니라 승강이였다. 그런데 표준국어대사전은 ‘실랑이’에 ‘승강이’의 뜻을 보태놓았다. 두 말을 유의어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사전은 언어현상에 대해 다분히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기 때문에 언어대중이 많이 쓰는 말도 사전적 해석으로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절대다수의 사람이 그렇게 쓴다면 사전도 물러설 수밖에 없다. ‘말 나고 문법 났지, 문법 나고 말 났나’ 하는 빈정거림이 이럴 때는 설득력을 갖게 된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4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35
1588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94
1587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95
1586 스크린 도어 바람의종 2010.03.02 8995
1585 있냐? 없냐? 바람의종 2008.09.23 8996
1584 진정코 바람의종 2010.02.23 9002
1583 실버 바람의종 2010.05.05 9011
1582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9014
1581 우리 민족, 우리나라 바람의종 2009.07.08 9014
1580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17
1579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27
1578 블루스 바람의종 2010.02.28 9027
1577 반어법 바람의종 2010.02.23 9029
1576 다 되다, 다되다 바람의종 2012.04.30 9032
1575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3
1574 중계(中繼)와 중개(仲介) 바람의종 2012.06.14 9034
1573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35
1572 끼여들기 바람의종 2008.10.31 9036
1571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036
1570 연결 어미 ‘-려’와 ‘-러’ 바람의종 2010.01.20 9039
1569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039
1568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41
1567 캐러멜, 캬라멜 바람의종 2010.05.12 90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