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348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72
1610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50
1609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51
1608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52
1607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54
1606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55
1605 인사말 바람의종 2008.01.22 8958
1604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8962
1603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62
1602 아무, 누구 바람의종 2009.10.08 8963
1601 설레이다, 설레다 바람의종 2009.07.06 8964
1600 개차산과 죽산 바람의종 2008.01.27 8967
1599 물총새 바람의종 2009.06.09 8970
1598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70
1597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71
1596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973
1595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74
1594 넥타 바람의종 2008.02.03 8976
1593 불은 라면 바람의종 2012.08.01 8981
1592 실랑이 바람의종 2009.12.04 8982
1591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85
1590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87
1589 싸대기 바람의종 2010.07.19 89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