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8 01:18

옥쌀·강낭쌀

조회 수 880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옥쌀·강낭쌀

북녘말

옥쌀은 “강냉이농마와 강냉이가루, 밀가루를 한데 섞어서 흰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강냉이농마는 ‘옥수수 녹말가루’의 북녘말이다. 옥쌀은 1981년에 나온 <현대조선말사전>(제2판)에 처음 실렸다. 옥쌀은 197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사전에 추가된 말로 ‘옥쌀기계·옥쌀공장·옥쌀혁명’ 등이 있다. 북녘에서 옥쌀기계와 옥쌀공장을 만들어 생산량을 늘린 것은 식량난을 해결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겠다.

강낭쌀·강냉이쌀은 “강낭알을 타개서 겨를 벗기고 만든 쌀”이다. 강낭알은 옥수수 알을 가리키고, ‘타개다’는 “낟알을 망돌(맷돌)로 갈아서 쪼개는 것”이다. 남녘에서는 “콩을 타서 콩국수를 만들다”와 같이 ‘타개다’ 대신 ‘타다’를 쓴다. 강낭쌀은 ‘옥수수쌀’이다.

지금은 음식물 쓰레기가 너무 많아 문제지만, 남녘도 식량난에서 벗어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불과 삼십 년 전만 해도 보릿고개, 춘궁기가 있었다. 남북 국어사전을 보면, ‘강피쌀·상수리쌀·핍쌀(피쌀)’ 등이 있다. 이제는 곡식으로 여기지 않는 강피·상수리·피의 열매를 식량으로 먹었던 것이다. ‘귀리쌀(귀밀쌀)·기장쌀·녹쌀·메밀쌀·밀쌀·보리쌀·생동쌀·수수쌀·율무쌀·좁쌀’ 들도 있는데, ‘쌀’이라는 말이 붙은 것을 볼 때, 이들을 쌀처럼 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건강을 생각해 잡곡밥을 먹고, 잡곡이 쌀보다 비싼 것도 있다. 하지만 세계에는 북녘을 포함한 여러 나라가 식량난에 허덕이고, 식량이 무기가 될 날이 온다는 점도 알아둬야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26
1654 비닐 바람의종 2009.11.12 8846
1653 도사리 바람의종 2010.06.20 8847
1652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48
1651 엘레지, 사리 바람의종 2012.06.26 8849
1650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850
1649 두문불출 바람의종 2007.11.01 8850
1648 로또 복권 바람의종 2008.03.31 8852
1647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56
1646 한테·더러 바람의종 2009.05.02 8864
1645 단추를 꿰매다 바람의종 2011.12.26 8865
1644 동서남북 순서 바람의종 2010.03.03 8869
1643 핀과 핀트 바람의종 2008.09.25 8870
1642 굳은 살이 - 박혔다, 박였다, 배겼다 바람의종 2009.07.28 8870
1641 낱알, 낟알 / 옛, 예 바람의종 2009.02.14 8873
1640 불호령 風磬 2006.12.23 8878
1639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879
1638 혈구군과 갑비고차 바람의종 2008.06.03 8880
1637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880
1636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881
1635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883
1634 나의 살던 고향은 바람의종 2009.07.07 8887
1633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8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