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0 00:22

얼과 넋

조회 수 8556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얼과 넋

마음의 속살인 느낌·생각·뜻은 몸에서 나오지만 ‘얼’은 몸에서 말미암지 않는다. 그래서 느낄 수도 생각할 수도 없고 있는지 없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얼이란 말을 썼으니 그게 있는 줄을 알았기 때문이다. ‘얼간이·얼뜨기·얼빙이·얼빠졌다’는 말이 있다. 얼간이는 얼이 나가버린 사람이다.(‘얼간+이’ 아닌 ‘얼+간+이’로 풀어야) 얼뜨기는 얼이 떠버린 사람, 얼빙이는 얼이 비어버린 사람이다. 얼빙이나 얼뜨기나 얼간이의 사람됨을 싸잡아 ‘얼빠졌다’ 한다. 얼이란 무엇인가? 우선 ‘알’이다. 뜻의 알, 생각의 알이고, 느낌의 알이며, 곧 마음의 알이다. 마음의 알이면 몸의 알이고 마침내 사람의 알이다. 사람의 알은 다른 온갖 알과는 아주 달라 홀소리를 바꾸어 ‘얼’이라 했다.

사람이 죽으면 ‘돌아갔다’ 한다. 무엇이 돌아가는가? 몸은 주검으로 누워 있다. 느낌과 생각과 뜻인 마음은 몸에 뿌리박혔으니 주검과 떨어질 수 없다. 돌아가는 것은 다름 아닌 얼이다. 어디로 돌아가는가? 본디 왔던 거기로 돌아갈 수밖에. 그런데 몸을 떠나 돌아가는 얼은 얼이 아니다. 몸을 벗어나면 이미 무엇의 ‘알’일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뀐 이름이 ‘넋’이다. 무교의 사제인 무당은 굿판에서 넋건지기·넋걷이·넋굿·넋두리·넋맞이·넋반·넋풀이 같은 말을 자주 쓴다. 산사람에게도 ‘넋 빠진 사람’, ‘넋 나간 사람’, ‘넋을 놓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주검 같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매우 몰아치는 말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6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63
1764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608
1763 복합어와 띄어쓰기 2 바람의종 2009.03.29 8608
1762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611
1761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11
1760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611
1759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612
1758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613
1757 호꼼마씸? file 바람의종 2010.03.07 8615
1756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618
1755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18
1754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623
1753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625
1752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28
1751 움과 싹 바람의종 2008.01.03 8629
1750 나차운 디! file 바람의종 2010.05.30 8631
1749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32
1748 일본식 용어 - ㅈ 바람의종 2008.03.13 8635
1747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2.09.19 8636
1746 지프와 바바리 바람의종 2008.04.19 8650
1745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바람의종 2012.07.03 8651
1744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52
1743 선달 바람의종 2007.07.23 86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