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2.01 06:58

순직

조회 수 10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순직

세월호에서 학생들을 구하다 숨진 ‘기간제 교사’가 ‘현행법 때문에’ 순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상식적으로 본다면 배와 승객을 버리고 도망친 선장과 달리 존경과 우대를 받아야 마땅하거늘 어찌 우리의 법률은 그런 희생자에게 사후까지 이런 매정한 대우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더 나은 가치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을 버린 행위를 ‘순절’이라는 말로 기린다. 종종 ‘순사’라고도 한다.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죽은 이들은 ‘순국’했다고 하며, 신앙을 위한 것이었으면 ‘순교’라고 한다. 그리고 자신의 직분을 다하다가 희생된 사람들은 ‘순직’이라 해서 법적으로 그의 명예를 드높이고 유족에 대해 깊은 배려를 아끼지 않는다.

나라를 위해 순국한 사람들을 둘러보면 무슨 공직이나 관직에 있었던 사람들보다는 가진 것 많지 않은 사람들이 흔연히 몸을 바친 경우가 매우 많다. 그러니 기간제니 임시직이니 계약직이니를 꼽으며 순국 여부를 따진다면 이 얼마나 해괴한 일이겠는가. 순교자도 성직자인지의 여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뜨겁게 신앙을 지켰는가가 유일한 잣대이다. 순직도 해당 직책과 임무에 얼마나 철저했느냐가 중요하지 직위나 직급을 따진다면 오히려 모욕이 될 것이다.

세월호 사건은 공직자들이 얼마나 무책임하게 어린 학생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는지를 보여주는 사건이다. 순직자를 기린다는 것은 공적인 책임자들이 자신의 임무를 끝까지 다하도록 독려함으로써 다시는 억울하고 원통한 희생이 나오지 않도록 하자는 것이다. 우리가 하루하루 큰 탈 없이 사는 것은 자신이 잘나서라기보다는 누군가 안 보이는 곳에서 희생과 헌신을 하는 덕분일 것이다. 희생과 헌신을 이렇게 소홀히 다루는 법률은 하루빨리 손질해야 한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5814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346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444
    read more
  4. 국물도 없다, 그림책 읽어 주자

    Date2022.08.22 By風文 Views1024
    Read More
  5. 상석

    Date2023.12.05 By風文 Views1024
    Read More
  6.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Date2022.05.31 By風文 Views1027
    Read More
  7. 일고의 가치

    Date2022.01.07 By風文 Views1029
    Read More
  8.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Date2022.06.08 By風文 Views1030
    Read More
  9. 인과와 편향, 같잖다

    Date2022.10.10 By風文 Views1031
    Read More
  10. 말과 서열, 세대차와 언어감각

    Date2022.06.21 By風文 Views1033
    Read More
  1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Date2022.05.17 By風文 Views1034
    Read More
  12. 뒷담화 보도, 교각살우

    Date2022.06.27 By風文 Views1034
    Read More
  13. 내연녀와 동거인

    Date2023.04.19 By風文 Views1036
    Read More
  1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Date2022.06.01 By風文 Views1037
    Read More
  15. '김'의 예언

    Date2023.04.13 By風文 Views1037
    Read More
  16.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038
    Read More
  17. 연말용 상투어

    Date2022.01.25 By風文 Views1038
    Read More
  18. 물타기 어휘, 개념 경쟁

    Date2022.06.26 By風文 Views1043
    Read More
  19.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Date2022.08.05 By風文 Views1044
    Read More
  2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Date2022.09.05 By風文 Views1044
    Read More
  21.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Date2022.07.16 By風文 Views1046
    Read More
  22. 언어적 도발, 겨레말큰사전

    Date2022.06.28 By風文 Views1048
    Read More
  23. 마그나 카르타

    Date2022.05.10 By風文 Views1050
    Read More
  24. 쓰봉

    Date2023.11.16 By風文 Views1050
    Read More
  25. 소통과 삐딱함

    Date2021.10.30 By風文 Views105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