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20 14:21

올가을 첫눈 / 김치

조회 수 12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올가을 첫눈

개미 기어가는 소리가 들릴 듯 정적이 깔린 교실에 모깃소리 같은 탄성이 흘렀다. 시험지 뚫어지게 봐도 뾰족한 답이 떠오르지 않았을 누군가의 것이었을 것이다. ‘눈이다!’ 감독 교사는 무심히 창밖만 바라볼 뿐이었지만 십대 끄트머리의 학생들은 그렇지 않았다. ‘정말!’, ‘진짜…’, ‘아…’, 누가 먼저라 할 거 없이 여기저기서 외마디 소리가 흘러나왔다. 거기에 내 것도 섞여 있었다. ‘하필이면’ 대입 시험 치르는 날에 첫눈이 내린 것이다. 시커먼 남학생들이 그러했으니 같은 시각 창밖의 첫눈을 바라본 여학생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오래전 어느 해 11월24일, 대입 수험생으로 맞은 첫눈의 정경을 나는 그렇게 기억한다.

지난 월요일 서울에 첫눈이 내렸다. ‘그날’ 날리던 눈발과 달리 왕소금처럼 ‘멋대가리 없는’ 눈이 후드득후드득 떨어졌다. 그리 멀지 않은 하늘은 파랗게 터져 있는데 머리 위 하늘에서는 눈 내리니 ‘여우비’(볕이 나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가 떠올랐다. 그럼에도 첫눈은 첫눈이다. ‘첫 눈’이 아니라 첫눈. 그것도 ‘올 가을’ 아닌 올가을에 내린 첫눈이다. ‘올해의 준말’인 ‘올’이 붙은 ‘올가을’, ‘맨 처음의’ 뜻인 ‘첫’이 붙은 ‘첫눈’은 합성어로 붙여 쓴다.

띄어쓰기 한 것과 아닌 것의 차이가 대수일까. 그렇다, 소릿값이 달라진다. 두 낱말의 발음은 [올가을]과 [천눈:]이 아닌 [올까을]과 [천눈]이다. ‘올봄’, ‘올여름’, ‘올겨울’의 소릿값은 [올뽐], [올려름], [올껴울]이다. ‘봄눈’, ‘함박눈’, ‘싸락눈’, ‘소나기눈’(폭설), ‘숫눈’(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의 ‘-눈’은 장음 [눈:]이 아닌 단음으로 발음한다. ‘눈’(雪)의 본래 소릿값은 장음이지만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나타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표준발음법 제6항) ‘첫눈’의 ‘눈’이 첫음절에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짧게 [천눈]으로 발음하는 것이다.


………………………………………………………………………………………………………………
김치

새벽 방송을 마친 아나운서 몇이 식당에 둘러앉았다. 날마다 먹는 아침밥이지만 그날 식탁은 여느 날과 달랐다. 가지런히 펼쳐놓은 식판들 가운데 오도카니 놓여 있는 케이크 하나. 영문 모른 채 자리 잡은 동료가 머리 갸웃하자 새내기 아나운서가 빙긋 웃는다. 꼭두새벽 출근길에 폭죽과 초까지 챙겨 온 자신을 뿌듯해하는 듯했다. 옆에 있던 후배가 촛불 켜는 사이 앞자리에 있던 이는 폭죽을 터뜨렸다. 휑뎅그렁하던 구내식당이 해사한 웃음으로 가득 찬 느낌이었다. 뜻하지 않게 받은 과분한 생일상이었다. ‘생일상’의 백미는 적당히 익어 아삭한 김치였다. ‘리어카 빌려 손수 싣고 온 김치 50포기로 김장한 날 밤, 쌈김치 배불리 먹고 난 뒤 해산했다’는 어머니 말씀이 떠올라 더 맛있게 느껴졌을지 모른다. 거기에, 김장철 김치라 더 맛있게 느껴졌을 것이다.

김치의 갈래는 여럿이고 종류는 정확히 몇 개인지 알 수 없을 만큼 많다. 동치미·나박김치 같은 물김치가 있는가 하면 ‘봄에 새로 난 배추나 무 따위로 담근’ 햇김치, ‘봄철까지 먹을 수 있도록 젓갈을 넣지 아니하고 담근’ 늦김치처럼 때의 뜻을 담아 부르는 것이 있다. 배추·무·오이·파·부추·고들빼기는 기본이고 우거지·돌나물·두릅·고수에 이르기까지 김치 담그는 재료 또한 참으로 다양하다. 그릇도 다르다. 간장은 종지에 담듯이 김치는 보시기에 담는다. 오이 허리를 서너 갈래로 갈라 온갖 재료로 양념한 소를 박아 만들면 오이소박이, 무 따위를 나박나박 썰어 담그면 나박김치, 깍둑썰어 만들면 깍두기다. 덤불김치는 알뜰 살림의 본보기다. 무의 잎과 줄기, 또는 배추의 지스러기(골라내거나 잘라 내고 남은 나머지)로 담그기 때문이다. ‘알타리(무)김치’는 총각(무)김치의 잘못이고, ‘열무냉면’에서 보듯이 국물김치로 많이 담그는 열무는 ‘어린 무’다. 남자는 있는데 여자가 없는 김치도 있다. 무나 배추 한 가지로 담근 김치를 홀아비김치라 이르는데 ‘과부김치’는 없기 때문이다. 때는 바야흐로 김장철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87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56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0354
3080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131
3079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132
3078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135
3077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139
3076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142
3075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152
3074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159
3073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164
3072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183
3071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190
3070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218
3069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231
3068 지슬 風文 2020.04.29 1244
306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263
3066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264
3065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267
3064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270
3063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281
3062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283
»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286
3060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301
3059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3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