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맞춤법을 없애자

그동안 어문 규범은 근대 국가 성립 과정에서 말과 글에 일정한 질서와 공통성을 부여해주었다. 이제 그 역할을 다했으니 놓아주자. 근대의 성과를 디딤돌 삼아 한 단계 올라서려면, 성문화된 맞춤법, 표준어 규정을 없애야 한다.

어문 규범을 없앤다고 혼란에 빠지지 않는다. 어문 규범은 이미 뿌리내렸다. 올바르게 철자를 쓰라는 요구는 이제 문명인의 ‘최소’ 기준이자 사회적 장치다. 학교 교육, 다양한 미디어 환경, 공공언어 영역은 언어의 공통성을 유지하는 버팀목이다.

좋은 점은 많다. 우리는 늘 판결을 기다린다. “‘어쭙잖다’는 맞고 ‘어줍잖다’는 틀린다”는 식. 반면, 영어에서 ‘요구르트’를 ‘yogurt’, ‘yoghurt’, ‘yoghourt’로 쓰지만 큰 문제가 안 된다. 어문 규범을 없애면 다양한 철자가 공존하게 된다. ‘마르크스’와 ‘맑스’, ‘도스토옙스키’와 ‘도스또예프스끼’를 보고 ‘이렇게도 쓰나 보군’ 하며 넘어갈 수 있다. 사회적 분노 지수를 낮추고 다양성에 대한 포용력이 생긴다.

불문율이 언어의 본질에 맞는다. 말에는 사회성과 함께 역사성이 뒤엉켜 있다. 그래서 늘 애매하다. 강조점에 따라, ‘닦달’을 쓸 수도, ‘닥달’을 쓸 수도 있다. 말에 대한 의견 불일치의 유지와 공존이야말로 말에 대한 상상력을 촉발한다. 야구에서 ‘9회에 10점 이상 이기고 있는 팀은 도루를 하지 않는다’고 법으로 정해놓았다면 얼마나 재미없나. 성문법을 없애야 지역, 사람, 시대에 대한 관심이 살아난다. 말의 민주화와 사회적 역량 강화는 성문법의 폐지에서 시작된다. 꿈같은 얘기다.



맞춤법을 없애자 2

성문화된 맞춤법을 없애자고 했더니 말의 질서를 망가뜨리는 무책임한 발상이라고 지적하는 사람이 많았다. 구구단을 다 외웠으면 벽에 붙여놓은 구구단표를 떼어내야 한다. 현대적 말글살이를 위해 한걸음만 내딛자.

성문화된 규범이 없어도 표기의 질서는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성문법이 없는 절대다수 국가가 이를 보여준다. 한글 맞춤법은 공통어의 형성이라는 근대 민족국가 건설의 과제와 일본 제국주의의 언어말살 정책에 맞서 민족 정체성의 확립이라는 과제가 겹친 시기에 제정되었다. 변변한 사전도 없고 합의된 표기 방법도 없던 상황에서 이룬 커다란 성취다.

현행 맞춤법의 대원칙은 ‘(1)표준어를 (2)소리대로 적되 (3)어법에 맞도록’ 쓴다는 것이다.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이라는 원칙은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 우리를 괴롭히지만, 다른 표기 방안보다 여러모로 낫다. ‘갓흔’(같은), ‘바닷다’(받았다)처럼 소리 나는 대로 적자던 조선총독부의 ‘언문철자법’(1912)이나 이승만의 ‘한글 간소화 방안’(1954)에 비하면 한국어의 특성을 합리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그 결과 맞춤법은 한국어를 표기하는 독보적 원리로 정착되었다. 문화적 무의식으로 자리 잡았으며 공적 영역을 유지하기 위한 실천적 습관(아비투스)이 되었다. 다음 세대에서도 유지될 것이다. 즉, 역사성과 정당성을 확보했다. 그러니 겁내지 말자. ‘꼿밧에 안자 잇는 옵바’(꽃밭에 앉아 있는 오빠)라 쓴 책이 팔리겠는가.

문제는 ‘표준어’다. 맞춤법을 없애자는 주장은 결국 ‘표준어’를 없애자는 것이다.(다음 주에 이어서)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5794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742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2May
    by 風文
    2023/05/22 by 風文
    Views 1359 

    단골

  5. No Image 31May
    by 風文
    2020/05/31 by 風文
    Views 1363 

    아카시아 1, 2

  6. No Image 23Sep
    by 風文
    2022/09/23 by 風文
    Views 1365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7. No Image 22Nov
    by 風文
    2022/11/22 by 風文
    Views 1366 

    열쇳말, 다섯 살까지

  8. No Image 28May
    by 風文
    2023/05/28 by 風文
    Views 1366 

    아이 위시 아파트

  9. No Image 06Jun
    by 風文
    2023/06/06 by 風文
    Views 1367 

    이 자리를 빌려

  10.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367 

    ‘괴담’ 되돌려주기

  11. No Image 02May
    by 風文
    2020/05/02 by 風文
    Views 1368 

    살인 진드기

  12. No Image 29Jan
    by 風文
    2022/01/29 by 風文
    Views 1371 

    정치의 유목화

  13. No Image 17Aug
    by 風文
    2022/08/17 by 風文
    Views 1372 

    인기척, 허하다

  14. No Image 28Apr
    by 風文
    2020/04/28 by 風文
    Views 1373 

    벌금 50위안

  15. No Image 20May
    by 風文
    2020/05/20 by 風文
    Views 1375 

    올가을 첫눈 / 김치

  16. No Image 06Feb
    by 風文
    2023/02/06 by 風文
    Views 1376 

    국가의 목소리

  17. No Image 24Apr
    by 風文
    2023/04/24 by 風文
    Views 1376 

    너무

  18. No Image 28Jun
    by 風文
    2023/06/28 by 風文
    Views 1383 

    존맛

  19. No Image 09Sep
    by 風文
    2022/09/09 by 風文
    Views 1391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20. No Image 28Oct
    by 風文
    2022/10/28 by 風文
    Views 1393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21. No Image 15Nov
    by 風文
    2021/11/15 by 風文
    Views 1395 

    지명의 의의

  22. No Image 21Jun
    by 風文
    2023/06/21 by 風文
    Views 1396 

    우리나라

  23. No Image 14Jun
    by 風文
    2023/06/14 by 風文
    Views 1397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24. No Image 11Jan
    by 風文
    2022/01/11 by 風文
    Views 1399 

    공화 정신

  25. No Image 01Dec
    by 風文
    2022/12/01 by 風文
    Views 1400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