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2 22:50

대명사의 탈출

조회 수 9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명사의 탈출

 

‘나와 너’, ‘여기와 저기’와 같은 말을 대명사라고 한다. 대명사의 가장 큰 특징은 말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위치에 따라 말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다. 내가 나를 일컬을 때는 분명히 ‘나’였는데, 남이 나를 부를 때는 ‘너’가 된다. 또 ‘그 사람’이 될 수도 있다. 실체는 그대로인데 누가 어디에서 나를 호출하느냐에 따라 어휘의 모습이 달라진다. 어린아이들은 아직 관계라는 개념에 익숙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와 ‘너’라는 대명사보다는 아예 이름을 말한다. 

 

관계를 언어로 드러내는 것은 퍽 까다로운 일이다. 영어를 처음 배울 때 인칭에 따라 달라지는 그들의 동사가 얼마나 귀찮았던가. 그들의 언어는 자신과의 관계에 따라 동사의 성격을 다르게 본 것이다. 대명사가 인간의 관계를 드러낸다면 명사는 그 관계를 무표정하게 만든다. 그냥 ‘집’이라 하면 건축물로서의 ‘집’이다. 그러나 ‘우리 집’이라고 하면 ‘우리’의 소유 대상이거나 거주 공간이다.  이러한 대명사들이 그 ‘관계의 표지’를 품에 안은 채 명사의 구역으로 자꾸 탈출하고 있다. 몇 해 전에 ‘우리’라는 말을 특정 정당과 은행의 이름에 사용하기 시작하더니, 요즘은 ‘요기요’, ‘여기 어때’, ‘여기다’ 같은 대명사가 마치 명사인 듯이 응용프로그램(앱) 이름에 등장했다. 품사의 경계를 넘나들면 기능이 중복되게 마련이다. 심지어 지방의 어느 지역을 지나가다가 ‘거기’라는 모텔 이름도 본 적이 있다. “우리 ‘거기’ 갈까?” 하는 소박한 문장 안으로 모텔의 의미가 침투해 들어온 것이다.

 

말의 성격이 슬슬 변하고 있다. 서로의 관계를 보여 주는 대명사가 에일리언처럼 명사(상품명)의 몸에 들어가 소비자들을 낚아채려 한다. 소비자들은 대명사 때문에 그 상품과 자신이 유의미한 관계인 것처럼 느끼게 된다. 원래 소비자와 관계 깊던 대명사가 상품의 진영으로 넘어가 버리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555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721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3Aug
    by 風文
    2022/08/03 by 風文
    Views 1297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5. No Image 02Sep
    by 風文
    2023/09/02 by 風文
    Views 1303 

    웰다잉 -> 품위사

  6.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307 

    성인의 세계

  7.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12 

    ‘개덥다’고?

  8.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314 

    외부인과 내부인

  9. No Image 20Jan
    by 風文
    2024/01/20 by 風文
    Views 1315 

    ‘시월’ ‘오뉴월’

  10. No Image 07Jan
    by 風文
    2022/01/07 by 風文
    Views 1316 

    할 말과 못할 말

  11. No Image 02Nov
    by 風文
    2021/11/02 by 風文
    Views 1321 

    방언의 힘

  12. No Image 03Sep
    by 風文
    2022/09/03 by 風文
    Views 132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13. No Image 02Jun
    by 風文
    2022/06/02 by 風文
    Views 1325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14. No Image 12Oct
    by 風文
    2022/10/12 by 風文
    Views 1325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15. No Image 02Aug
    by 風文
    2022/08/02 by 風文
    Views 1335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16. No Image 27Mar
    by 風文
    2024/03/27 by 風文
    Views 133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17. No Image 13Oct
    by 風文
    2023/10/13 by 風文
    Views 1339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18. No Image 17May
    by 風文
    2020/05/17 by 風文
    Views 1341 

    사수 / 십이십이

  19. No Image 21Aug
    by 風文
    2022/08/21 by 風文
    Views 13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20. No Image 25Apr
    by 風文
    2023/04/25 by 風文
    Views 1341 

    개양귀비

  21. No Image 29Apr
    by 風文
    2020/04/29 by 風文
    Views 1346 

    지슬

  22. No Image 14Apr
    by 風文
    2023/04/14 by 風文
    Views 1347 

    어쩌다 보니

  23. No Image 06Jun
    by 風文
    2023/06/06 by 風文
    Views 1351 

    이 자리를 빌려

  24.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352 

    한자를 몰라도

  25.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353 

    ‘괴담’ 되돌려주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