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1 19:25

귀 잡수시다?

조회 수 12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귀 잡수시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이라고 불릴 만큼 예절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런 태도가 언어에도 반영돼 우리말에는 높임법이 매우 발달해 있다. 문장의 주체를 높이기 위해 ‘시’를 넣어 말하거나, 말을 듣는 상대에 따라 ‘했니?’, ‘했습니까?’처럼 어미를 다르게 선택해서 말한다. ‘진지, 생신, 잡수시다, 주무시다’처럼 윗사람에게만 쓰는 높임 어휘가 따로 존재하기도 한다.

그런데 때로는 높임말을 잘못 사용해서 곤란을 겪기도 한다. 흔히 틀리는 게 ‘귀 잡수시다’인데, 이게 잘못인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얼마 전에도 “우리 할아버지는 귀가 잡수셔서 말을 잘 못 알아들으세요”라고 말하는 청년을 보았다. ‘귀가 먹으셨다’라고 해야 할 것을 어른에게 ‘먹었다’고 하기가 어려워서 ‘귀가 잡수셨다’고 한 것이다.

‘귀먹다’의 ‘먹다’는 ‘밥을 먹다’의 ‘먹다’와는 다른 말이다. 이때의 ‘먹다’는 ‘막히다’의 뜻을 지닌 옛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다’는 뜻이다. 이 ‘먹다’는 코가 막힌 경우에도 쓸 수 있는데, 감기에 걸려 코맹맹이 소리를 낼 때 ‘코 먹은 소리’라고 하는 게 그런 예이다. 갑자기 귀가 막힌 것처럼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체한 것같이 가슴이 답답할 때 쓰는 ‘먹먹하다’나, 앞뒤가 꽉 막혀 답답한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먹통’ 이 모두 이 ‘먹다’와 관련이 있는 말이다.

‘귀 잡수셨다’는 말은 동물의 귀를 음식으로 섭취했다는 뜻이 되므로 ‘귀먹다’의 높임말이 될 수 없다. 어른에 대해서 쓸 때에는 ‘귀가 먹으셨다’고 하면 된다. 그래도 어른께 ‘먹으셨다’고 말하기가 영 찜찜하다면 ‘귀가 어두우시다’나 ‘귀가 잘 안 들리신다’로 표현하면 될 것이다.

-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8040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9397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2Sep
    by 風文
    2023/09/02 by 風文
    Views 1313 

    지긋이/지그시

  5. No Image 26May
    by 風文
    2022/05/26 by 風文
    Views 1315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6. No Image 10Jul
    by 風文
    2022/07/10 by 風文
    Views 1317 

    지식생산, 동의함

  7. No Image 10Nov
    by 風文
    2023/11/10 by 風文
    Views 1317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8. No Image 20Jan
    by 風文
    2024/01/20 by 風文
    Views 1321 

    바람을 피다?

  9.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323 

    오염된 소통

  10. No Image 14Jul
    by 風文
    2022/07/14 by 風文
    Views 1323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11.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33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12. No Image 25Oct
    by 風文
    2022/10/25 by 風文
    Views 1335 

    ‘시끄러워!’, 직연

  13.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340 

    주권자의 외침

  14. No Image 17Apr
    by 風文
    2023/04/17 by 風文
    Views 1345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15. No Image 30Jun
    by 風文
    2022/06/30 by 風文
    Views 1346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16. No Image 07Jan
    by 風文
    2022/01/07 by 風文
    Views 1348 

    할 말과 못할 말

  17. No Image 18Feb
    by 風文
    2024/02/18 by 風文
    Views 1351 

    ‘요새’와 ‘금세’

  18. No Image 17May
    by 風文
    2020/05/17 by 風文
    Views 1353 

    사수 / 십이십이

  19. No Image 02Nov
    by 風文
    2021/11/02 by 風文
    Views 1355 

    방언의 힘

  20. No Image 29Apr
    by 風文
    2020/04/29 by 風文
    Views 1359 

    지슬

  21.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359 

    외부인과 내부인

  22. No Image 04Sep
    by 風文
    2022/09/04 by 風文
    Views 1359 

    일타강사, ‘일’의 의미

  23. No Image 18Oct
    by 風文
    2023/10/18 by 風文
    Views 1360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24. No Image 27Mar
    by 風文
    2024/03/27 by 風文
    Views 1364 

    갑질

  25. No Image 02Jun
    by 風文
    2022/06/02 by 風文
    Views 1365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