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2 16:03

한 두름, 한 손

조회 수 10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두름, 한 손

받고 싶은 추석 선물 1위로 한우가 꼽혔다고 한다. 부동의 1위였던 현금은 2위로 밀렸다. 한우 값 폭등이 원인이라는 분석 기사를 보면서 주머니 사정 생각하니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한우에 밀리긴 했지만 굴비도 예나 지금이나 최고급 선물에 속한다. 굴비는 아직도 새끼로 엮어 파는 전통이 남아 있다. 조기 같은 생선을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 즉 20마리를 한 두름이라고 한다. 오징어도 20마리를 묶어 파는데 이를 ‘축’이라고 한다. 북어 스무 마리를 묶은 것은 ‘쾌’이다. 유독 스물을 나타내는 단위가 많다. 한약 스무 첩은 한 제이다.

‘고등어 한 손’하면 고등어 두 마리를 말한다. ‘손’은 한 손에 잡을만한 분량을 나타내는 말로 조기, 고등어, 배추 등의 한 손은 큰 것 하나와 작은 것 하나를 합한 것을 이른다. 미나리나 파 등의 한 손은 한 줌 분량을 말한다. 참 정겨운 표현이다. 그릇 열 개는 한 죽이다. 옷 열 벌도 ‘죽’이라고 한다. 버선 한 죽(열 켤레), 접시 한 죽과 같이 쓴다. 흔히 서로 뜻이 잘 맞을 때 ‘죽이 잘 맞다’ 고 하는데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 접은 채소나 과일 100개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예전에 우리 어머니는 배추 두 접씩 김장을 하곤 하셨는데 요즘 배추 200포기 김장하는 집이 얼마나 될까 싶다. 마늘, 곶감 등도 접을 쓴다. 오이, 가지 등을 셀 때에는 ‘거리’를 쓰기도 한다. 한 거리는 50개이다. 김을 묶어 세는 단위는 ‘톳’이다. 김 한 톳은 백 장이다.

선물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처럼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말도 많다. 단위를 나타내는 말들이 특히 그렇다. 추석을 앞두니 이런 말들이 멀어져 가는 게 더 아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5841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36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460
    read more
  4. “산따” “고기떡” “왈렌끼”

    Date2024.05.31 By風文 Views13
    Read More
  5. “사겨라” “바꼈어요”

    Date2024.05.31 By風文 Views18
    Read More
  6.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Date2024.05.29 By風文 Views32
    Read More
  7. 어이없다

    Date2024.05.29 By風文 Views55
    Read More
  8.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Date2024.05.10 By風文 Views314
    Read More
  9.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Date2024.05.10 By風文 Views320
    Read More
  10.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376
    Read More
  11. 서거, 별세, 타계

    Date2024.05.08 By風文 Views425
    Read More
  12. 잡담의 가치

    Date2021.09.03 By風文 Views587
    Read More
  13. 말의 권모술수

    Date2021.10.13 By風文 Views611
    Read More
  14. 공공 재산, 전화

    Date2021.10.08 By風文 Views625
    Read More
  15. 무제한 발언권

    Date2021.09.14 By風文 Views643
    Read More
  16. 법률과 애국

    Date2021.09.10 By風文 Views660
    Read More
  17. 정치인들의 말

    Date2021.10.08 By風文 Views664
    Read More
  18. 군인의 말투

    Date2021.09.14 By風文 Views666
    Read More
  19. 또 다른 공용어

    Date2021.09.07 By風文 Views667
    Read More
  20. 악담의 악순환

    Date2021.09.13 By風文 Views687
    Read More
  21. 상투적인 반성

    Date2021.10.10 By風文 Views693
    Read More
  22. 언어적 주도력

    Date2021.09.13 By風文 Views732
    Read More
  23. 아무 - 누구

    Date2020.05.05 By風文 Views739
    Read More
  24. 어버이들

    Date2021.10.10 By風文 Views748
    Read More
  25. 선교와 압박

    Date2021.09.05 By風文 Views7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