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0.05.05 11:48

아무 - 누구

조회 수 7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무-누구

보름 전 이 자리를 통해서 “섬뜩한 느낌 주는 ‘살인 진드기’라는 표현은 삼가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 이후 ‘진드기’(ㅈ 일보, ㅊ 교수), ‘공포의 작명’(ㅈ 일보, ㅇ 논설위원) 등의 제목으로 비슷한 뜻을 담은 칼럼이 나왔다. 줄기는 같아도 풀어내는 방식은 달랐다. 동물생태학자와 기자답게 전공과 취재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분석을 담아 썼기 때문이다. 세상살이를 두고 ‘누구’라도 떠들 수 있지만 논리를 갖춰 매체에 글을 쓰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기도 하다.

엊그제 라디오에서 ‘기미, 주근깨 따위에 효과가 있다’는 치료제 광고가 나왔다. ‘(피부 고운) 공주는 아무나…’ 하는 대목에 언어 직관을 거스르는 내용이 있었다. ‘…아무나 될 수 없지만(이 치료제를 바르면 가능하다)’이 아닌 ‘(공주는) 아무나 될 수 있다’는 문장으로 끝난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아무나’ 해서는 안 되는 것이 방송”이란 금언에 익숙해서였을지 모른다.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지만 아무나 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책’처럼 유사한 보기가 많았으니까.

‘아무(어떤 사람을 특별히 정하지 않고 이르는 인칭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누구’와 뜻 차이가 없이 쓰인다. ‘나, 라도와 같은 조사와 함께 쓰일 때는 긍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하기도 하는 게 ‘아무’이지만 ‘흔히 부정의 뜻을 가진 서술어와 호응’(표준국어대사전)하기에 피부 치료제 광고가 낯설게 들린 것이다. <칼의 노래>를 쓴 김훈은 “‘버려진 섬마다 꽃이(은) 피었다’를 두고 이틀을 고민하다 ‘꽃은 피었다’로 결론 내렸다. ‘-이’는 사실을 진술한 문장, ‘-은’은 주관적인 ‘그만이 아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술회했다. 같은 듯 비슷한 표현도 상황에 맞춰 제대로 쓰는 게 바른 말글살이이다.

강재형/미디어언어연구소장·아나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4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9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108
3282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098
3281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風文 2022.07.12 1100
3280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101
3279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104
3278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108
327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08
3276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110
327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110
3274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111
3273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11
3272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112
3271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113
3270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13
326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116
326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117
3267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117
3266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118
3265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118
326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122
3263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122
3262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122
3261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