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4:57

너랑 나랑

조회 수 764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랑 나랑

고장말

말을 잇거나 열거하는 데 쓰이는 표준어 ‘-이랑’은 어느 고장이나 거의 비슷한 형태로 사용되지만, 제주말과 평안말에서는 좀 달리 나타난다. 제주에서는 ‘-이영’이 쓰인다. “아침이영 정심밥이영 가져오게 뒈며는 …” “붉은 험벅이영 노랑 험벅이영 푸린 험벅이영 오섹 가지로 ….”(<한국구비문학대계> 북제주군 편) ‘-이랑’과 마찬가지로 자음 뒤엔 ‘-이영’이, 모음 뒤엔 ‘-영’이 쓰인다. “산에 간 남을 비여단 배를 짓언 씨어멍이영 메누리영 씨아방이영 이젠 배를 탄 나사난(나서니) ….”(위 책)

‘-이영’은 ‘-이랑’과는 달리 표준어의 ‘-도’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난 나비영 잡지 그렵수다.”(나는 나비도 잡고 싶습니다) “그 사름이영 카키옌 햄수과?”(그 사람도 가겠다고 합니까?) 이는 제주말의 ‘-광’이 ‘-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그 예자 양지광(얼굴도) 참 곱다.” “그 사름 입은 것광 불쌍하여라.”

평안말에서는 ‘-이랑’은 ‘-이당/이땅’과 대응된다. “아덜이땅 딸이당 흑게(참) 잘살디 않습네?” 모음 뒤엔 ‘-당/땅’이 쓰인다. “왜디땅 복새땅 참 맛있갔습둥.”

표준어의 ‘-이랑’이 ‘-이다’의 활용형 ‘-이라’에 ‘ㅇ’이 덧붙은 형태라면, 제주말의 ‘-이영’은 ‘-이여’에 ‘ㅇ’이 덧붙었다. 평안말 ‘-이당/이땅’은 표준어의 ‘-이다’에 ‘ㅇ’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27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91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4373
1276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700
1275 '매우''아주''몹시' 바람의종 2008.05.01 7700
1274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699
1273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698
1272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696
1271 성대묘사 바람의종 2011.12.05 7694
1270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690
1269 다반사 바람의종 2007.06.20 7689
1268 사사, 사숙 바람의종 2008.12.08 7689
1267 발강이 바람의종 2009.08.01 7685
1266 다람쥐 file 바람의종 2009.08.02 7685
1265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84
1264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679
1263 단출하다 風磬 2006.11.06 7677
1262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74
1261 오소리 바람의종 2009.07.18 7673
1260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672
1259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669
1258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662
1257 죽으깨미 바람의종 2009.05.04 7661
1256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658
1255 꼬시다 바람의종 2008.10.29 7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