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2 00:25

새말 만들기

조회 수 7800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말 만들기

기성세대들은 대체로 새말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흔히 ‘통신 언어’, ‘인터넷 언어’, ‘채팅어’, ‘외계어’ 등과 같이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쓰는 말을 떠올리기 때문이다. 국어원 설문 조사 결과, 기성세대의 90% 이상이 통신 언어로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한다. 그러나 새말을 만드는 주체는 청소년만이 아니며, 그렇게 부정적인 개념을 포함하지도 않는다.

누구나 새말을 만들 수 있다. ‘아?d?d’이라는 말은 인터넷 사이트에서 잘못 친 오타인데, 다른 사람들이 따라 하면서 인터넷 시늉말(의태어)로 널리 쓰이게 됐다. 이처럼 우연히 만들어진 새말이 있는가 하면 일부러 만든 말도 있다. ‘발열옷, 골프폰’처럼 학문이나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물건이나 개념이 생겼을 때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고, 밖에서 들어온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댓글’이나 ‘누리꾼’이 그런 보기다.

널리 쓰이는 말이라도 일본어 잔재, 어려운 한자어들은 쉬운 우리말로 바꾸려는 노력이 계속돼 왔다. ‘나시’(なし)를 대신할 말로 ‘민소매’라는 말을 만들었다. ‘적자생존’에 비추어 만들어 낸 ‘혁자생존’(革者生存)처럼 흥미를 끌거나 강조하려는 조어도 있다.

누구나 새말을 만들어 쓸 수 있는데도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쓰는 말이 곧 새말이라 생각하게 된 것은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았다는 말도 되겠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3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51
1346 동포, 교포 바람의종 2008.10.04 7901
1345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900
1344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900
1343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9
1342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98
1341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98
1340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893
133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886
1338 깔끔하지 못한 말 바람의종 2010.03.02 7886
1337 이따가, 있다가 바람의종 2009.06.30 7885
1336 기절하다 바람의종 2007.05.06 7882
1335 선크림 바람의종 2009.12.01 7880
1334 옳은 말씀 바람의종 2009.03.18 7877
1333 능소니 바람의종 2009.07.25 7872
1332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869
1331 추파와 외도 바람의종 2009.03.18 7867
1330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329 제맛 바람의종 2008.01.05 7865
1328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56
1327 임대와 임차 바람의종 2009.03.30 7856
1326 과태료, 벌금, 보상, 배상 바람의종 2008.10.27 7848
1325 어느, 어떤 바람의종 2009.10.06 78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