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54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23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916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3870
1386 무더위 바람의종 2009.08.29 5936
1385 무더위 바람의종 2010.07.09 7544
1384 무단시 왜 그리 쌓소! 바람의종 2010.01.28 7609
1383 무녀리 바람의종 2010.04.18 11073
1382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8951
»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546
1380 무꾸리 風磬 2006.11.26 7911
1379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640
1378 무거리 바람의종 2009.02.21 6558
1377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281
1376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6992
1375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493
1374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348
1373 못하다 바람의종 2010.03.18 10773
1372 못지않다, 못지 않다 / 마지않다, 마지 않다 바람의종 2009.03.25 16485
1371 못쓸 짓 바람의종 2010.03.14 9662
1370 못미처, 못미쳐, 못 미처, 못 미쳐 바람의종 2010.10.18 21977
1369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824
1368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55
1367 몸 달은 바람의종 2012.08.21 7000
1366 몰로이 바람의종 2009.06.30 9279
1365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