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9 01:42

운율

조회 수 818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운율

고장말들이 서로 차이를 보이는 게 여럿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울림과 높낮이, 그리고 길고 짧음’이다. 이 요소가 지역마다 달라서 경상 방언에는 음의 높낮이가 뚜렷하고, 전라와 충청 방언에는 길고 짧음(장단)이 두드러진다. 시인이나 작가들은 지역 언어에서 익힌 이 고유한 운율로 저마다 고향의 정서를 표현한다.

시인 박목월은 〈사투리〉란 작품에서 “우리 고장에서는 오빠를 오라베라고 했다. 그 무뚝뚝하고 왁살스러운 악센트로 오오라베 부르면 나는 앞이 칵 막히도록 좋았다”라며 자신의 고장말을 통해 경상도 사람들의 정감과 심성, 그리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형상화하고 있다.
미당 서정주는 시 〈화사〉에서 “사향 박하의 뒤안길이다. 아름다운 베암…을마나 크다란 슬픔으로 태여났기에, 저리도 징그라운 몸둥아리냐”라고 표현하면서 장음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정서적 현장감과 사실성을 나타내고자 쓰이고, 또한 운율과 관련되어 부드럽고 유연함을 더하고 있다.
김영랑의 시 〈누이의 마음아 나를 보아라〉에서는 “오매 단풍들것네”라는 전라 방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운율적인 효과를 잘 살리고 있다. 감탄사 ‘오매’를 ‘오오매, 오오오매’와 같이 음절을 늘리면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시인들은 갖가지 비유뿐만 아니라 ‘오오라베, 베암, 오오오매’와 같은 고장말의 독특한 운율을 잘 활용하는 선수들이기도 하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8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97
1412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02
1411 사면초가 바람의종 2007.11.07 8001
1410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7996
1409 복불복 바람의종 2007.07.16 7995
1408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7992
1407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89
1406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86
1405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86
1404 충돌, 추돌 바람의종 2008.11.12 7986
1403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7982
1402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7980
1401 굿 바람의종 2008.02.17 7978
1400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78
1399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7976
1398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76
1397 팔색조 바람의종 2009.10.07 7973
1396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7968
1395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67
1394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7960
1393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7960
1392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55
1391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9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