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16 08:28

소라색, 곤색

조회 수 819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라색, 곤색

별빛마을ㆍ사랑마을 등 서울 주변 신도시엔 순 우리말로 된 아파트 단지가 많다. 요즘엔 ○○타운ㆍ○○파크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 외국어 바람은 아파트뿐 아니라 옷ㆍ화장품ㆍ자동차 등에도 거세다. 특히 색깔을 표시할 때 핑크ㆍ레드ㆍ블루 등으로 쓰는 게 너무나 자연스럽다. 핑크로즈ㆍ와인레드ㆍ베이비블루 등 영어 색상명을 그대로 옮겨 오는 경우도 흔하다. 우리말이 외국어에 밀려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게다가 과거의 일본식 표기도 여전히 남아 있다.

"하늘거리는 소라색 원피스를 입은 네 모습을 잊을 수 없다" 등 일상 대화에서 무심코 쓰는 소라색이 대표적이다. 소라색은 일본어 '소라이로(空色, そらいろ)'에서 온 말이다. 하늘을 뜻하는 '공(空)'은 일본어 '소라(そら)'로 읽고 '색(色)'은 우리말 한자 독음으로 읽은 일본식 한자어다. 그러나 하늘색이라는 우리말이 있는데 소라색이라고 쓸 이유가 없다. 곤색도 마찬가지다. 일본어 '곤(紺, こん)'과 '색'으로 구성된 말로 검푸른 빛을 띤 짙은 남색을 가리킨다. 심지어 '검다'란 뜻의 구로(黑:くろ)를 붙여 '구로곤색'이라고도 한다. "면접 때는 곤색 양복을 입는 게 단정해 보인다" "그는 구로곤색의 경찰복을 입고 있었다" 등의 문장에서 곤색. 구로곤색은 검남색ㆍ진남색으로 바꿔 써야 한다.

감색(紺色)이라고도 하나 자연의 색깔을 인용하는 경우가 많은 우리말의 특성상 과일의 주홍빛을 떠올릴 수 있어 검남색ㆍ진남색으로 쓰는 게 좋다. 일본식 한자어는 바꿔 쓸 수 있는 우리말이 얼마든지 있다. 이제부터라도 외국어에 뺏긴 우리말의 빛깔을 찾아 주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98
15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48
1521 영부인 바람의종 2008.12.08 8248
1520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45
1519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41
1518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40
1517 마개와 뚜껑 바람의종 2008.02.04 8239
1516 뽀록나다 바람의종 2009.03.17 8234
1515 문장의 앞뒤 바람의종 2010.01.10 8229
1514 웃긴, 웃기는 바람의종 2009.03.23 8227
1513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226
1512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21
1511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21
1510 공권력 바람의종 2010.09.03 8217
1509 썰매 바람의종 2010.07.26 8214
1508 약방에 감초 바람의종 2008.01.25 8203
1507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201
1506 갸냘픈 바람의종 2012.08.01 8198
1505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97
1504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96
»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93
1502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90
1501 철부지 바람의종 2007.05.23 81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