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4 02:02

죽전과 삿대수

조회 수 810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죽전과 삿대수

땅이름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보면, 황해북도 서흥군은 도호부가 있던 곳으로 동쪽은 신계현, 서쪽은 봉산군, 남쪽은 평산부, 북쪽은 수안군 사이에 있었다. 서흥부 동쪽 30리에 죽전(竹田)이란 곳이 있는데, 화살을 뜻하는 ‘죽전’(竹箭)으로도 불렀다. <용비어천가>에는 이 땅이름을 ‘전죽수’(箭竹藪)라고 했는데, ‘화살과 대나무와 늪’이란 뜻이다. 그런데 화살과 대나무, 그리고 늪은 아무 관련이 없는 사물들이다.

토박이 땅이름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우리말과 중국어의 말소리 차이를 살필 수 있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소리가 바뀐 한자음을 본음과 같게 만들고자 펴냈던 <동국정운>에서, 우리말 한자어 중 ‘리을(ㄹ) 받침’으로 끝나는 말들은 중국어의 경우 ‘디귿(ㄷ)’처럼 들리는 말들이었다. 이른바 이영보래(以影補來)는 한자음 영(ㆆ)으로 래(ㄹ)음을 보충함으로써 중국음에 가깝게 낸다는 뜻이다.

<용비어천가>에서 ‘전죽수’를 한글 ‘삿대수’로 표기한 점은 매우 흥미롭다. 왜냐하면 ‘전’(箭)은 우리말 ‘살’인데, 이를 ‘삿’으로 적었으므로 ‘전죽수’에서 ‘전’(箭)의 의미는 화살과는 관련이 없는 셈이다. 이 말은 ‘사이’를 뜻하는 ‘사△ㅣ’의 옛말 형태로 볼 수 있다. ‘삿’은 ‘사이’나 ‘새’로 바뀔 수도 있지만 ‘삿[또는 삳]’이 ‘살’로 바뀔 수도 있다. ‘전죽수’가 ‘여러 지형에 놓인 늪’을 뜻하는 말이라면, ‘죽전’(竹田)은 ‘전죽’의 어순이 바뀌어 형성된 동음이의어 ‘죽전’(竹箭)에서 온 말이 된다. 이처럼 ‘대밭’으로 풀이되는 죽전이라는 땅이름 속에 우리말의 또다른 모습이 담겼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57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22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7187
1518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165
1517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161
1516 이견을 좁히다 바람의종 2008.12.06 8159
1515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153
1514 분노와 대로 바람의종 2010.08.06 8153
1513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147
1512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47
1511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41
1510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138
1509 차로, 차선 바람의종 2008.12.07 8137
1508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33
1507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133
1506 반지락, 아나고 바람의종 2008.09.04 8122
1505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20
1504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20
1503 부리다와 시키다 바람의종 2008.01.20 8116
1502 뽑다와 캐다 바람의종 2008.01.26 8115
1501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10
»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01
1499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098
1498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097
1497 부수다와 부서지다 바람의종 2010.07.19 80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