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07 15:55

사탕·기름사탕

조회 수 870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탕·기름사탕

북녘말

사탕과 설탕은 원래 구별 없이 썼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사탕가루·가루사탕·모래사탕·백사탕·백설탕·각사탕·모사탕·흑사탕·흑설탕·황설탕’은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다. 사탕(沙糖·砂糖)은 ‘모래와 같은 가루 상태’를, 설탕(雪糖)은 ‘눈처럼 하얀 가루 상태’를 가리킨다. 사탕과 설탕은 그 말 자체로는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던 것이 남녘에서는 ‘단맛이 나는 물질’을 설탕으로, ‘설탕을 녹여서 만든 과자’를 사탕으로 구별해서 쓰는 경향이 있다. 북녘에서는 두 가지 모두 사탕으로 쓴다. 남녘 사전에 ‘각사탕’도 있지만 남녘에서는 주로 ‘각설탕’을 쓰는 반면, 북녘에서는 ‘각사탕, 모사탕’을 쓰고, ‘각설탕’은 쓰지 않는다. ‘검은사탕, 누렁사탕’은 ‘흑설탕’과 같은 말인데, 북녘에서 다듬은 말이다. 남녘에서도 쓰는 ‘사탕수수, 사탕무’는 ‘설탕의 재료가 되는 수수나무’인데도 ‘사탕’이라는 말을 쓰고 있어서 사탕과 설탕을 구별하지 않던 흔적이라 하겠다.

북녘말 ‘기름사탕’은 남녘에서 흔히 ‘캬라멜’로도 쓰는 ‘캐러멜’(caramel)을 다듬은 말이다. ‘캬라멜’과 ‘캐러멜’은 1950년대 이전에도 쓰였는데, 57년에 나온 <큰사전>부터 현재까지 ‘캬라멜’을 비표준어로, ‘캐러멜’을 표준어로 하고 있다. 그런데 아직도 ‘캬라멜’을 쓰는 사람이 꽤 많다. ‘캬라멜’이 상표에 쓰이는 영향인지, ‘캐러멜’이 그렇게 거부감이 드는 것인지 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북녘에서는 1962년 <조선말 사전>부터 ‘캬라멜’을 표준으로 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30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95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4715
1804 바람의종 2012.09.12 8953
1803 산통 깨다 바람의종 2007.05.10 10879
1802 산전수전 바람의종 2007.07.19 8317
1801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6976
1800 산막이 옛길 風文 2023.11.09 846
1799 산림욕 / 삼림욕 바람의종 2008.08.21 7089
1798 바람의종 2013.01.25 17828
1797 삭이다, 삭히다 / 썩히다, 썩이다 / 박히다, 박이다 바람의종 2008.10.10 10527
1796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09
1795 사회 지도층 바람의종 2011.11.25 9693
1794 사파리 바람의종 2009.06.30 6628
179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9823
1792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170
» 사탕·기름사탕 바람의종 2008.06.07 8706
1790 사촌 바람의종 2008.01.24 10237
1789 사체, 시체 바람의종 2009.07.29 9034
1788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697
1787 사주 바람의종 2007.07.19 9010
1786 사족 / 사죽 바람의종 2009.03.01 7599
1785 사족 바람의종 2007.07.18 6273
1784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5995
1783 사전(辭典), 사전(事典) 바람의종 2012.02.01 77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