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5 05:21

새이방우, 새미골

조회 수 664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이방우, 새미골

땅이름

말은 시간에 따라 변하며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옛말과 현대말이 다르며, 지리·사회적 분화도 다양하게 이뤄진다. 말의 분화는 어휘나 문법뿐만 아니라 말소리 차이에서도 생겨난다.

‘새이방우’와 ‘새미골’은 경상방언의 말소리 체계를 반영한 땅이름이다. ‘새이방우’는 ‘송이처럼 생긴 바위’를 뜻하고, ‘새미골’은 ‘샘이 있는 마을’이다. ‘송이’가 ‘쇵이’나 ‘생이’로 발음되는 연유는 이 단어의 뒷음절 ‘이’가 앞음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먹이다’가 ‘멕이다’로 발음되는 이치와 같다. 이렇게 변화한 ‘생이’가 ‘새이’로 바뀐 까닭은 경상방언에서 ‘이’의 기능이 점점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샘의 골’이 ‘새미골’로 바뀐 데서도 찾을 수 있다.

경상방언은 표준어와는 달리 ‘ㅔ·ㅐ’, ‘ㅓ·ㅡ’가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겹홀소리 ‘ㅢ’를 잘 내지 못한다. ‘갈 거다’를 [갈 끼다]로, ‘먹는다’를 [묵는다]로 발음하는 현상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쇵이’가 ‘새이’로 굳어지고, ‘샘의’가 ‘새미’로 발음되는 현상은 겹홀소리 체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래 우리말은 ‘이’가 뒤에 합쳐지는 겹홀소리가 많았다. 그런데 오늘날은 ‘이’가 뒤에 오는 겹홀소리 가운데 ‘의’만 남아 있으므로 ‘의’는 발음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경상도에서는 ‘의’를 ‘이’로 ‘위’를 ‘우’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휘뿐만 아니라 말소리에서도 방언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6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321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8127
1869 생략되는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1.23 9580
1868 생때같다 바람의종 2010.03.09 12566
1867 생때, 생떼 바람의종 2010.04.10 9967
1866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846
1865 생각두룩새 바람의종 2009.05.28 5703
1864 생각 뒤 바람의종 2009.08.05 8317
1863 샘골과 시암실 바람의종 2008.06.12 5894
1862 샌드위치 바람의종 2008.02.15 7602
1861 샌님 風磬 2006.12.29 10503
1860 색깔이름 바람의종 2008.01.29 21598
1859 색감 바람의종 2009.02.04 6363
1858 새해 인사 바람의종 2008.06.03 6525
»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641
1856 새의 꼬리 바람의종 2010.02.07 8398
1855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233
1854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904
1853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014
1852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762
1851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790
1850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258
1849 새나 짐승의 어린 것을 이르는 말 바람의종 2010.04.02 112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