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0 17:43

중앙아시아 언어들

조회 수 931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중앙아시아 언어들

지도를 머릿속에 그려보자. 인도 북서쪽 너머 펼쳐진 고산지대에서 초원지대에 이르는 드넓은 땅이 중앙아시아다. 이곳에는 ‘스탄’이라 이름붙은 나라들이 서로 이웃하고 있다. 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등. ‘스탄’은 땅을 뜻하는 말이라는데, 그 어원은 분명치 않다. 이들 나라의 말겨레를 살펴보자.

먼저 파키스탄에는 인도말겨레에 드는 우르드말이 공식어이며, 그 밖에 펀자브말을 비롯한 여러 말이 함께 쓰인다.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말은 이란말겨레에 딸린다. 타지키스탄에는 타지크말이, 아프가니스탄에는 파슈토말이 주로 쓰인다. 파슈토말의 글자는 아랍글자에서 나왔으며, 타지크말은 1940년부터 러시아말처럼 키릴글자로 적는다.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말은 알타이말겨레 가운데서도 튀르크말겨레에 든다. 튀르크말겨레의 대표적인 말은 터키말인데, 투르크멘말은 특히 터키말에 가깝다. 물론 카자흐말·우즈베크말·키르기스말 모두 터키말과 아주 비슷하다. 이들 말은 옛날에는 아랍글자를 빌려 쓰다가 1920년대에 로마글자로 바꾸었으나 이들 나라가 모두 옛소련에 속했던 까닭에 1940년에 들어서부터 키릴글자로 바꾸었다. 이들 말들은 우리말과 말차례가 같고 씨끝도 발달하였으며, 갖가지 문법 현상들도 매우 비슷하다. 우리말 계통이 알타이말겨레와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4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1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037
1940 된장녀 바람의종 2010.07.20 9239
1939 오부리 바람의종 2009.07.08 9238
1938 막간을 이용하다 바람의종 2008.01.06 9230
1937 덜미를 잡히다 바람의종 2007.12.30 9224
1936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222
1935 벌이다, 벌리다 바람의종 2008.10.11 9221
1934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214
1933 어리숙, 허수룩 / 텁수룩, 헙수룩 바람의종 2009.02.02 9213
1932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10
1931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05
1930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203
1929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203
1928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202
1927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01
1926 명사 + 하다, 형용사 + 하다 바람의종 2009.07.17 9201
1925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198
1924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197
1923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195
1922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92
1921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191
1920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189
1919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