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4

수자리와 정지

조회 수 799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자리와 정지

땅이름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나오는 ‘에정지’는 양주동의 <여요전주> 이후로 경상 방언 ‘부억’을 뜻한다고 푼다. 부엌에 해당하는 ‘정지’가 있다고 해서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정지 가다가 드로라”를 ‘부엌에 가다가 듣는다’로 푸는 건 부자연스럽다.

땅이름에는 정자·군막 같은 인조물에서 비롯된 것들도 많다. 넓은 들이나 수려한 경관을 배경으로 정자를 짓고 나그네들의 쉼터로 이용하거나 은둔의 근거지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정자가 있던 마을에는 으레 ‘정자골’이 생겨난다. ‘정’(亭)은 또한 역참·군막을 일컫기도 했으니 ‘수자리’와도 관련이 깊다. 신라 때 군사 제도인 ‘9정’ 역시 수자리와 관련을 맺는다. ‘수자리’의 수는 ‘지킬 수’[守]와 음이 같고, 이는 ‘술·숯’과 음이 유사하다. 따라서 ‘수자리’ 대신 ‘술골·숯골’이 생겨나며, 이런 땅이름은 ‘술 주’[酒], ‘숯 탄’[炭]을 가져다 ‘주곡·주동·탄곡·탄동’으로 바꾼다. 이쯤 되면 ‘수자리’의 본뜻은 사라지고 술이나 숯과 관련된 땅이름처럼 여겨진다.

‘에정지’는 ‘어정지’(於亭地)로 보는 게 타당할 듯싶다. 고시조에서 한자어 ‘어혈지다’를 ‘에혈지다’로 표기한 사례가 있듯, 어조사 ‘어’(於)를 ‘에’로 발음하는 것은 흔하며, ‘정지’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청산별곡>은 ‘사슴탈을 쓴 배우가 장대에 올라 해금 켜는 것을 듣는 장면’을 그렸으므로, 굳이 부엌에 가다가 들었다기보다 ‘정지’에 가다가 들었다는 뜻으로 푸는 게 자연스럽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03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70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1865
2002 수훈감 바람의종 2010.05.17 8181
2001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221
2000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471
1999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308
1998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554
1997 수작 바람의종 2010.06.16 10554
»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7998
1995 수입산? 외국산? 바람의종 2012.12.03 18757
1994 수입산 바람의종 2009.09.21 7988
1993 수육, 편육, 제육 바람의종 2009.02.05 10249
1992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047
1991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232
1990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149
1989 수만이 바람의종 2008.09.29 6148
1988 수리수리마수리 바람의종 2008.02.16 10334
1987 수뢰 바람의종 2012.12.11 17792
1986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244
1985 수달 file 바람의종 2009.09.22 5979
1984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841
1983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22
198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775
1981 수근거리다, 소근거리다 바람의종 2010.01.26 106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