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10 02:41

몽골말과 몽골어파

조회 수 937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몽골말과 몽골어파

어느 나라말이든 들온말(차용어)이 있다. 우리말에서도 고려 때 몽골 쪽에서 적잖은 말들이 들어왔다. 이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데, 말·매와 같은 동물을 일컫는 말, 그리고 군사·음식에 관련된 말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가라말’(검은말), ‘간자말’(흰말), ‘고라말’(누런말), ‘구렁말’(밤색말), ‘서라말’(점박이말) 따위가 몽골말 차용어다. ‘송골매, 보라매’도, 임금의 밥을 뜻하는 ‘수라’도 몽골에서 들온말이다.

이렇게 우리말에 영향을 끼친 몽골말은 현재 몽골공화국에서 200만 남짓,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서 500만 남짓이 쓰고 있다. 특히 몽골공화국에서 쓰는 말을 할하몽골말이라 한다. 몽골말은 위구르글자를 빌려 자기 말을 적었는데, 이것이 바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쓰기를 하는 고유의 몽골글자다.

계통 분류로 보면, 몽골어는 알타이어족 몽골어파에 든다. 10세기 초 요나라를 세운 거란족의 말이 몽골어파의 옛말로 추정된다. 몽골어파는 현재 러시아와 중국 땅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러시아 땅에는 부리야트말, 칼미크말이, 중국 땅에 다고르어, 몽구오르어, 보난어, 캉자어, 둥샹어, 동부유고어가 쓰이는데, 이 가운데는 사용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말도 여럿 있다. 나이 든 사람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과 자기 말을 함께 쓰면서 살고, 젊은이들은 중국말이나 러시아말에 훨씬 더 친숙하여 모국어를 점차 잊어 가면서 살고 있다. 말이 사라지는 안타까움을 눈앞에서 보고 산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36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03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5072
2024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345
2023 삐까삐까 바람의종 2008.02.14 9338
2022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335
2021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25
2020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323
2019 일절 뒤에는 부정어,금지어 바람의종 2009.11.15 9319
2018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19
2017 주워섬기다 바람의종 2012.06.20 9318
2016 괜스럽다 바람의종 2010.08.05 9317
2015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314
2014 낼름 / 웅큼 바람의종 2009.09.18 9311
2013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310
2012 딴죽걸다 바람의종 2008.01.03 9310
2011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08
2010 이루어지다, 이루다 바람의종 2009.08.04 9303
2009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02
2008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294
2007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288
2006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286
2005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286
2004 우화 바람의종 2010.07.12 9285
2003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2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