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10.28 05:36

박쥐

조회 수 975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박쥐

전통 장신구 가운데 박쥐노리개가 있다.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부녀자들이 차고 다니는 노리개를 이른다. 언제부터 노리개를 차기 시작했을까. 정확한 연대는 알기 어렵다. 신라 때 허리띠에 달던 요패나, 고려 때 허리띠에 금방울이나 향료를 넣은 비단주머니를 차던 풍습이 조선에 와서 노리개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박쥐의 ‘박’은 복(福)과 소리가 비슷하다. 오복을 가져다주는 동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박쥐 모양의 노리개나 박쥐 문양을 넣은 노리개를 많이 달았다고 풀이한다.

일반적으로 노리개는 고름에 거는 부분인 띳돈, 끈, 패물, 매듭, 술로 이루어진다. 노리개는 다는 패물의 갈래와 크기에 따라 평복용과 예복용으로 가름한다. 패물의 갈래는 모양, 술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궁중에서 사용하던 대삼작, 상류층에서 즐겨 차던 중삼작, 보통의 젊은 처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던 소삼작이 있다.

박쥐의 생태를 돌아보면, 박쥐는 ‘밝쥐’에서 비롯했을 가능성이 높다. 박쥐는 밤을 낮 삼아 날아다닌다. 때로는 새처럼, 더러는 쥐처럼 살아간다. 그러니까 ‘밤눈이 밝다’에서 밤눈이 밝은 쥐, 다시 ‘밝쥐’로, 다시 ‘박쥐’로 굳어져 쓰이게 되었다. 이는 박혁거세가 불거내(弗炬內), 곧 ‘밝은 누리’의 ‘밝’에서 ‘박’으로 굳어져 쓰이는 경우와 같다. 박쥐가 초음파로 지형과 대상의 움직임을 알아서 밤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안 것은 뒤의 일이다. 본디 소리는 보이지 않는 빛인 것을.

정호완/대구대 명예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38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03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5499
2200 사뭇 / 자못 바람의종 2010.03.12 9795
2199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789
2198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83
2197 버무르다, 버무리다 바람의종 2011.12.12 9782
2196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778
2195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777
2194 차돌이 바람의종 2009.05.20 9777
2193 금싸래기 땅 바람의종 2012.01.08 9775
2192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773
2191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768
2190 높임말 바람의종 2009.11.24 9764
2189 동생과 아우 바람의종 2010.06.16 9763
2188 비듬나물 바람의종 2009.02.21 9763
2187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760
» 박쥐 바람의종 2009.10.28 9758
2185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758
2184 유해 식품, 위해 식품 바람의종 2009.11.08 9758
2183 연합전술로 패했다 바람의종 2010.07.30 9756
2182 꾸물꾸물한 날씨, 찌뿌둥하다 바람의종 2009.11.10 9753
2181 이것 조께 잡사 뵈겨? file 바람의종 2010.03.10 9749
2180 장수와 장사 바람의종 2010.02.28 9744
2179 여간 쉽지 않다 바람의종 2012.09.20 97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