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2 01:27

'막' 띄어쓰기

조회 수 1174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막' 띄어쓰기

우리나라 술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막걸리는 농부들이 주로 마신다 하여 농주(農酒), 빛깔이 흐리다고 하여 탁주(濁酒)라고 불리며 백성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막걸리에서 보듯 우리말에서 '막'은 친근감을 주기도 하지만 '거칠고' '세련되지 못한'의 의미를 부가하는 단어로도 쓰인다. 이 '막'은 '그는 막살던 생활습관에서 이제 막 벗어났다'처럼 동사 앞에서는 띄어쓰기를 달리한다. '막 벗어났다'의 '막'은 '바로 지금'이나 '바로 그때'를 나타내는 부사로 띄어 써야 한다. '공항에 도착하니 비행기가 막 떠났다'처럼 쓰인다. 또한 '밀려오는 슬픔에 막 울었다'처럼 '몹시 세차게'를 뜻하는 '막'도 띄어 써야 한다. 이때 '막'은 '마구'의 준말이다.

반면 '막살다'의 '막'은 일부 동사에 붙어 '주저없이' '함부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붙여 써야 한다. '김 사장은 직원들을 막보고 무시했다' '막가는 말에 흥분했다'처럼 쓰인다. 또한 막소주·막국수·막노동처럼 명사 앞에서 '거친' '품질이 낮은' '닥치는 대로'를 뜻하는 '막'은 접두사로서 붙여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5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2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110
2798 의학 용어 바람의종 2010.03.03 11675
2797 빼도 박도 못한다 바람의종 2008.02.24 11670
2796 상구 울어 싸 file 바람의종 2010.03.18 11667
2795 물고를 내다 바람의종 2008.01.08 11662
2794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661
2793 삼천포로 빠지다 바람의종 2008.01.17 11659
2792 안팎 바람의종 2010.11.26 11656
2791 사이다 바람의종 2010.06.16 11653
2790 재료, 원료 바람의종 2010.06.20 11651
2789 기면 기고 바람의종 2010.01.28 11646
2788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643
2787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636
2786 안 되다와 안되다 바람의종 2010.05.13 11628
2785 설화, 눈꽃, 상고대, 서리꽃 바람의종 2010.01.27 11627
278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24
2783 '데'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6 11622
2782 눈시울, 눈자위, 눈두덩 바람의종 2009.10.27 11617
2781 스포츠 중계 바람의종 2012.08.17 11608
2780 들르다와 들리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3.02 11605
2779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596
2778 아양 바람의종 2010.05.17 11591
2777 볏과 벼슬 바람의종 2011.11.17 115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