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5:05

자문

조회 수 519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문

단어의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사용함으로써 의도와는 달리 행위의 주체가 바뀌어 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자문(諮問)'입니다. '자문'은 물을 자(諮), 물을 문(問)으로 이뤄진 데서도 알 수 있듯이 '남에게 무엇을 묻는다'는 뜻입니다. 원래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의견을 묻는 것을 뜻했지만, 요즘은 '일을 하기 위해 어떤 방면의 전문가에게 의견을 물음'이라는 뜻으로 흔히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이 이 단어를 '어떤 사람의 질의에 답하는 것'이라고 잘못 알고 있습니다.

'현장에서 물러난 나이팅게일은 그녀의 봉사활동에 자극받아 유럽 각국에서 막 실시하기 시작한 의료 구호 제도에 대해 자문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냈다.' 이 문장은 유럽 각국의 의료 구호 관계자들이 나이팅게일에게 그 제도에 관해 물어본다는 내용인데 단어를 잘못 써서 나이팅게일이 질의하는 것으로 바뀌어버렸습니다. 여기서는 '자문' 대신 '조언'이라는 말을 썼더라면 정확한 글이 됐을 것입니다.

'필요시 전문가의 자문을 받기로 했다' '그는 변호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등도 어색한 표현입니다. 이것들은 '전문가에게 자문하기로 했다'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기로 했다' '변호사에게 자문했다' '변호사의 도움을 받았다' 등으로 바꾸면 됩니다.

한편 '선생님은 우리의 자문에 흔쾌히 응하셨다'의 경우는 우리가 묻고 선생님께서 답하신 것이므로 '자문'을 바르게 쓴 사례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6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20
2996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680
2995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11
2994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813
2993 아들아, 딸아? 바람의종 2008.06.09 4847
2992 어디 가여? 바람의종 2008.09.23 4864
2991 아니다라는 바람의종 2008.10.27 4865
2990 숫컷, 숫소? 바람의종 2008.09.30 4872
2989 어떻게 바람의종 2008.10.23 4921
2988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4982
2987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13
2986 ‘-도록 하다’ 바람의종 2008.09.04 5135
2985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142
2984 노루 바람의종 2008.10.27 5146
2983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54
2982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187
2981 바람의종 2008.09.26 5193
2980 바람의종 2009.03.18 5195
» 자문 바람의종 2008.11.15 5198
297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17
2977 애매모호 바람의종 2008.11.14 5230
2976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70
2975 삼가 바람의종 2008.10.04 52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