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1

사룀글투

조회 수 6446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룀글투

언어예절

전통적인 몇가지 ‘사룀글투’가 있다. 자손이 단출하나마 음식을 차려 제삿날 옛어른을 그리는 마음을 사뢰고, 드시라고 권하는 글이 축문이다. 언제·어디서·누가·누구에게·무엇을·왜·어떻게(여섯종자)를 한두 마디에 담아 사뢰고 비는 형식이다.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 ○○은 삼가 사뢰나이다. 어느덧 해가 바뀌어 ○○님 가신 날을 다시 맞으니 하늘 같은 가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포과를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모시는 대상이 성주나 산신령이라도 글틀은 비슷하고, 제를 지내는 연유 정도가 다를 뿐이다. 예컨대 뫼에 새로 상석이나 빗돌을 놓을 때 산신께 비는 말이라면 “아무해 아무달 아무날을 맞아 삼가 산신령께 사뢰나이다. 아무개의 봉분이 헐어, 돌과 흙을 더하여 상석을 놓고 손보고자 하오니 놀라지 마시옵고, 이로 말미암아 궂은 일이 일어나지 않게 돌보아 주시옵소서. 이에 몇 가지 음식과 술을 차려 올리오니 드시옵소서!”

틀과 내용이 썩 간략하고 곡진하다. 번거로움을 멀리하고 간략하고 진솔하게 하는 데서 예가 선다. 어떤 글자를 쓰든 사룀글도 여섯 종자가 바탕이 된다. 여기에 베풀어 자세히 하는 말과 바람들을 덧붙이는데, 고사문이나 고유문도 받들고 아뢰는 대상이나 연유를 달리할 뿐 틀과 뜻에서 다를 게 별로 없다. 길이를 조절하여 간곡한 마음을 더하고 덜할 뿐이다. 이런 틀은 전래굿을 비롯해 종교들에서 두루 비슷한데, 일 있을 때마다 써 버릇하고 행하면 한결 마음이 가다듬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90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58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0597
2992 바람의종 2008.07.28 6275
»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446
2990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088
2989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6932
2988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840
2987 바람의종 2008.08.03 6621
2986 이력서 바람의종 2008.08.03 5253
2985 아니어라우! 바람의종 2008.08.04 6590
2984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264
2983 양지꽃 바람의종 2008.08.08 5719
2982 바람의종 2008.08.08 5724
2981 실용글 바람의종 2008.08.11 4746
2980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24
2979 어둔이 바람의종 2008.08.13 6394
2978 철쭉 바람의종 2008.08.13 8589
2977 바람의종 2008.08.21 7242
2976 설명글 바람의종 2008.08.21 5268
2975 보게‘마씀’ 바람의종 2008.08.27 7048
297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845
2973 미스킴라일락 바람의종 2008.08.28 7684
2972 돼지 바람의종 2008.08.28 6166
2971 일러두기 바람의종 2008.09.02 63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