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1 11:27

댓글

조회 수 541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댓글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인터넷 문화와 관련된 새말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 게시판에 오른 글을 보고 새로운 의견을 피력하는 짧은 글을 영어권에서는 주로 ‘코멘트’(comment)라 하고 우리는 ‘리플라이’(reply)를 줄여 만든 말인 ‘리플’ 혹은 ‘댓글’이라는 말을 썼다. ‘리플’과 ‘댓글’ 두루 200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리플’은 국어원에서 2004년에 우리말 다듬기 말터 사이트(malteo.net)를 만들면서 초창기에 다듬을 대상으로 삼은 말이었다. 그런 영향인지 처음에는 ‘리플’이 강세였다가 요즘에는 ‘댓글’이 많이 쓰인다. 이런 추세는 방송에도 반영이 되어 한 방송 프로그램의 ‘리플하우스’라는 꼭지가 없어지고 대신 ‘공감 댓글’이라는 꼭지가 생겼다. 프로그램의 성격이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이끄는 방향으로 바뀌면서 함께 바뀐 것이어서 더욱 반가운 일이다. ‘댓글문화’라는 말이 백과사전의 올림말이 된 것을 보아도 ‘댓글’이라는 말이 제대로 정착했음을 알 수 있다.

국어원에서는 서툰 외래어나 외국어를 대신할 우리말로 된 새말을 국민과 함께 만들어 나가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모티콘’ 대신에 ‘그림말’을, ‘네티즌’ 대신 ‘누리꾼’을, ‘메신저’ 대신 ‘쪽지창’을 쓰자는 것이다. ‘댓글’이라는 새말이 정체불명의 영어 ‘리플’을 누르고 자리를 잡았듯이 쉬운 우리말로 된 새말들이 더 널리 쓰이기를 기대한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9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80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008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033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155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05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008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259
»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14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6964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11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394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01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896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068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176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559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886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05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331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481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450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24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