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2 16:03

한 두름, 한 손

조회 수 10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두름, 한 손

받고 싶은 추석 선물 1위로 한우가 꼽혔다고 한다. 부동의 1위였던 현금은 2위로 밀렸다. 한우 값 폭등이 원인이라는 분석 기사를 보면서 주머니 사정 생각하니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한우에 밀리긴 했지만 굴비도 예나 지금이나 최고급 선물에 속한다. 굴비는 아직도 새끼로 엮어 파는 전통이 남아 있다. 조기 같은 생선을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 즉 20마리를 한 두름이라고 한다. 오징어도 20마리를 묶어 파는데 이를 ‘축’이라고 한다. 북어 스무 마리를 묶은 것은 ‘쾌’이다. 유독 스물을 나타내는 단위가 많다. 한약 스무 첩은 한 제이다.

‘고등어 한 손’하면 고등어 두 마리를 말한다. ‘손’은 한 손에 잡을만한 분량을 나타내는 말로 조기, 고등어, 배추 등의 한 손은 큰 것 하나와 작은 것 하나를 합한 것을 이른다. 미나리나 파 등의 한 손은 한 줌 분량을 말한다. 참 정겨운 표현이다. 그릇 열 개는 한 죽이다. 옷 열 벌도 ‘죽’이라고 한다. 버선 한 죽(열 켤레), 접시 한 죽과 같이 쓴다. 흔히 서로 뜻이 잘 맞을 때 ‘죽이 잘 맞다’ 고 하는데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 접은 채소나 과일 100개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예전에 우리 어머니는 배추 두 접씩 김장을 하곤 하셨는데 요즘 배추 200포기 김장하는 집이 얼마나 될까 싶다. 마늘, 곶감 등도 접을 쓴다. 오이, 가지 등을 셀 때에는 ‘거리’를 쓰기도 한다. 한 거리는 50개이다. 김을 묶어 세는 단위는 ‘톳’이다. 김 한 톳은 백 장이다.

선물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처럼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말도 많다. 단위를 나타내는 말들이 특히 그렇다. 추석을 앞두니 이런 말들이 멀어져 가는 게 더 아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43
26 딱 그 한마디 風文 2021.09.06 809
25 '미망인'이란 말 風文 2021.09.10 780
24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776
23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775
22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771
21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739
20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739
19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32
18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688
17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687
16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667
15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666
14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664
13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660
12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643
11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625
10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11
9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587
8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420
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363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314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