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1.02 15:52

평등을 향하여

조회 수 14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평등을 향하여

우리 표준어 총칙에 ‘현대’라고 하는 조건이 달려 있는 것은 전근대적인 가치가 반영된 어휘나 표현을 경계하고 현대적인 ‘시민사회의 기준’을 바탕으로 언어생활을 꾸려 나가려는 이상이 담겨 있다. 그러나 이후에도 사회가 계속 발전하면서 언어에도 더 혁신해야 할 부분이 새로이 나타나게 되었다.

예를 든다면 날이 갈수록 강화되는 양성평등의 이념을 꼽을 수 있다. 당연히 그 이념은 여러 면에 다양한 영향을 끼친다. 전통적인 언어에서는 여성과 아이들에 대한 표현이 그리 세련되지 못했다. 그래서 그런지 젊은 세대는 전통적 표현보다는 ‘와이프’, ‘맘’, ‘키즈’ 하면서 좀 더 색다른 감각을 반영하려는 듯한 흐름을 보이기도 한다. 그런 걸 보면 우리의 오래된 어휘도 좀 더 손질하여 후세들이 쓰기에 거부감이 덜하게 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예로부터 일가붙이를 일컫는 말은 크게 친가, 외가, 처가로 나뉘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남성 중심의 표현이다. 여성을 중심으로 한다면 친가와 외가에다가 ‘시댁’이란 말이 들어갈 것이다. 오로지 남편의 친가, 즉 시부모의 가족에게는 ‘-댁’이라는 한 수 높은 칭호가 따른다. 종종 ‘외가댁’이니 ‘처가댁’이니 하는 말을 쓰는 사람도 일부 있기는 하다.

우리가 앞으로의 사회변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면 일단 주어진 현실 속에서 가장 예민한 ‘혁신의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양성평등의 원칙을 언어에서만이라도 하나하나 관철해 나갈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친족을 일컫는 표현에서 ‘-댁’이라는 접사를 붙여가며 친족 표현의 비대칭을 만들 필요는 없다. 모두 ‘친가, 외가, 처가, 시가’라고 일컫는 방식이 미래를 살아갈 자녀의 교육을 위해서라도 바람직하지 않은가 한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563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7308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3Aug
    by 風文
    2022/08/03 by 風文
    Views 1300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5. No Image 02Sep
    by 風文
    2023/09/02 by 風文
    Views 1308 

    웰다잉 -> 품위사

  6. No Image 10May
    by 風文
    2022/05/10 by 風文
    Views 1311 

    성인의 세계

  7. No Image 24Nov
    by 風文
    2023/11/24 by 風文
    Views 1312 

    ‘개덥다’고?

  8.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315 

    외부인과 내부인

  9. No Image 07Jan
    by 風文
    2022/01/07 by 風文
    Views 1316 

    할 말과 못할 말

  10. No Image 20Jan
    by 風文
    2024/01/20 by 風文
    Views 1320 

    ‘시월’ ‘오뉴월’

  11. No Image 03Sep
    by 風文
    2022/09/03 by 風文
    Views 1322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12. No Image 02Jun
    by 風文
    2022/06/02 by 風文
    Views 1325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13. No Image 02Nov
    by 風文
    2021/11/02 by 風文
    Views 1327 

    방언의 힘

  14. No Image 12Oct
    by 風文
    2022/10/12 by 風文
    Views 1330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15. No Image 02Aug
    by 風文
    2022/08/02 by 風文
    Views 1335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16. No Image 27Mar
    by 風文
    2024/03/27 by 風文
    Views 1336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17. No Image 17May
    by 風文
    2020/05/17 by 風文
    Views 1341 

    사수 / 십이십이

  18. No Image 13Oct
    by 風文
    2023/10/13 by 風文
    Views 1341 

    ‘걸다’, 약속하는 말 / ‘존버’와 신문

  19. No Image 21Aug
    by 風文
    2022/08/21 by 風文
    Views 1345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20. No Image 29Apr
    by 風文
    2020/04/29 by 風文
    Views 1346 

    지슬

  21. No Image 25Apr
    by 風文
    2023/04/25 by 風文
    Views 1350 

    개양귀비

  22.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352 

    한자를 몰라도

  23. No Image 01Nov
    by 風文
    2023/11/01 by 風文
    Views 1353 

    ‘괴담’ 되돌려주기

  24. No Image 15Sep
    by 風文
    2022/09/15 by 風文
    Views 1355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25. No Image 10Nov
    by 風文
    2022/11/10 by 風文
    Views 1356 

    독불장군, 만인의 ‘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