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7 23:55

통장을 부르다

조회 수 1143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통장을 부르다

“마지막 싸움이 될 이번 울돌목해전은 벌써 통장을 부른셈이나 다름없도다.”(김현구·‘리순신 장군’)

‘통장을 부르다’란 ‘누구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성과를 이룩하고 그것을 보란듯이 큰소리로 공포하는 것’이다. 통장을 부르는 것과 그 뜻에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통장은 ‘외통장군’이다. 장기에서 상대의 궁을 잡겠다고 선포할 때 ‘장군’이라 하고, 장군을 방어한 뒤에는 ‘멍군’이라 한다. 상대의 궁이 방어할 수 없는 수가 ‘외통수’인데, 외통수를 둔 뒤 부르는 장군이 ‘외통장군!’이다. 북녘에서는 외통장군을 ‘통장·통장훈·외통장·외통장훈’이라 한다. 통장을 부른 상황이라면 장기의 외통수만큼이나 확실하고 자랑스러운 상황이리라.

장기에서 ‘외통수’는 공격자의 생각이다. 통장을 불렀지만, ‘멍군’의 묘수가 나오면 ‘외통수’가 아닌 것이다. 또 장기에서는 통장으로 승부가 결정되면 장기를 다시 두면 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상황이 다르다. 승부를 끝내고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연속적인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인간관계에서의 ‘외통수’는 별로 긍정적이지 않다.

한편, ‘외통수’에 대한 남북 사전의 뜻풀이에 차이가 있다. 북녘 사전에는 번진 뜻으로 ‘외곬으로만 통하는 수나 방법’이란 풀이가 더 있다. 최근 남녘에서 쓰이는 ‘외통수’를 확인해 보면 ‘선택의 여지가 하나밖에 없는 상황’의 뜻으로 쓰고 있어서 쓰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572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351
3150 산오이풀 바람의종 2008.04.07 7007
3149 ‘고마미지’와 ‘강진’ 바람의종 2008.04.08 8037
3148 일터 말 바람의종 2008.04.08 9420
3147 밸과 마음 바람의종 2008.04.09 8284
3146 비비추 바람의종 2008.04.10 6644
3145 버들과 땅이름 바람의종 2008.04.10 7913
3144 일벗 사이 바람의종 2008.04.13 9786
3143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531
3142 분꽃 바람의종 2008.04.14 7112
3141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518
3140 인사 바람의종 2008.04.15 9790
3139 영양과 ‘고은’ 바람의종 2008.04.16 10539
3138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172
» 통장을 부르다 바람의종 2008.04.17 11433
3136 쑥부쟁이 바람의종 2008.04.19 7290
3135 금산과 진내을 바람의종 2008.04.19 6820
3134 나들이 바람의종 2008.04.20 8597
3133 기윽 디읃 시읏 바람의종 2008.04.20 10912
3132 논개 바람의종 2008.04.21 8267
3131 꽃무릇 바람의종 2008.04.21 6025
3130 술이홀과 파주 바람의종 2008.04.22 7458
3129 예식장 바람의종 2008.04.22 67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