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2

그닥

조회 수 675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닥

남녘에서 최근 널리 쓰이는 말로 ‘그닥’이 있다. 그닥은〈조선말대사전〉에서 ‘그다지의 말체’로 풀이되어 있다.

“하는수 없이 박홍덕은 바위틈에서 내려서서 그닥 높지 않은 목소리로 누구냐고 소리를 질렀다.”(장편소설 1932년)

〈조선말대사전〉에는 ‘말체’로 풀이된 올림말이 상당수 있다. 말체는 곧 ‘입으로 말하는 투’다. 다시 말해 글말투로 글을 쓸 때에는 ‘그다지’로 적고, 입말투로 글을 쓴다면 ‘그닥’으로 적는다는 말이다. 남녘 사전에는 ‘그닥’이 없는데, 그 이유는 ‘말체’ 낱말을 올리지 않고 ‘준말’인 낱말을 올리기 때문이다. 만약 ‘그닥’을 ‘준말’로 풀이하여 사전에 싣는다면, ‘글말투 문장에서 일반적으로 그닥을 쓰게 되었다’고 본 것이다.

‘그닥’은 어느 낱말의 준말일까? ‘그닥’은 북부와 중부 지역어에서 두루 확인되는 ‘그닥지’의 준말이다. 이제는 ‘그닥지’를 쓰지 않는데도 ‘그닥’이 남녘의 글에서 쓰이게 된 것은 인터넷 글쓰기의 영향이다. 그래서 ‘그닥’을 인터넷 유행어 정도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닥지’와 ‘그다지’는 20세기 전후에 같이 쓰이다가 표준어 정책으로 ‘그다지’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글학회〈큰사전〉이래로 남북 사전에서는 ‘그닥지’를 비표준어로 보고 있다. 그런데 ‘그닥’을 설명하려면 ‘그닥지’가 다시 필요하게 되었다. ‘그다지’와의 세력 싸움에서 진 뒤로 지역어에만 남아 있던 ‘그닥지’가 ‘그닥’을 내세워 중앙 진출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289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758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0534
3212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6835
3211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303
3210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178
3209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259
3208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299
3207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132
3206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116
3205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9863
3204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031
3203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139
3202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140
3201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381
3200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8916
3199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441
»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754
3197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6902
3196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8779
3195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382
3194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538
3193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8840
3192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8650
3191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5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6 Next
/ 156